조선의 잡지 -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진경환 지음 / 소소의책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후기 사회는 욕망이 꿈틀대던 사회의 본연의 모습이었다. 이를 통해 과거의 모습을 통해 다시 한양의 양반들이 가지고 있던 욕망의 이름으로 실학자인 유득공이 집필한 한양의 모습을 자세하게 살펴볼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었다.

우리는 어디까지나 소유하고픈 욕구가 있다. 특히 조선시대의 최상층이 신분이 었던 양반의 모습이 얼마나 그토록 갖고싶어하는 것에 더 집착하는 것인지 궁금했다. 모두가 아는데로 조선 후기에는 화폐경제의 발달과 상공업의 발달로 자본에 대한 경제적 인식이 더욱 넓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한 경제의 관념이 욕구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 역사의 모습이 눈 앞에 그려지는 것 같았다.

세상에는 다양한 문화와 오랫동안 내려 오는 풍습이 그 나라를 잘 나타내게 한다. 그러한 전통이 가져 다주는 의미는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 현대의 시선으로 본다면 절대 기억하지 않는 전통이자 살아있는 숨결이기에 사라지지말기를 바라는 마음이 더 크기 때문이다. 본인도 그래서 이 책에 주목하게 된 계기는 한 도시의 풍습과 문화를 잘 기억하는 그러한 지점이 너무 좋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깊게 보았던 주제 중 하나는 바로 양반들이 착용했던 의관이었다. 그들의 신분을 잘 드러내는 상징과도 같은 것들이기에 얼마나 소중하게 다루었는지 책을 통해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갓이라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에도 다양한 종류가 많이 있는 것만 아니라 역사 사극 드라마에 나오는 것들의 고증이 기존의 상식과 많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반들이 선호하고 유행처럼 가졌던 그들의 문화도 긍정적인 면에도 불구하고 허례허식에 눈에 보이는 것을 더 강조한 나머지 비판을 받기도 했다는 점은 이 책에서 곱씹어볼만한 부분이라 생각했다. 그 이유는 과거급제자가 관리로서 시작할 때 신고식으로 이뤄진 문화 자체가 너무나 심하게 이루어져서 축하의 의미보다도 그 사람을 가혹하게 만드는 불편함을 안겨준 사실이 좀 이해하기 힘들었다. 아무리 좋은 문화라고 해도 개인이 감당하기 힘든 지나침이 있다면 그것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했 다.

한양이라는 조선 후기의 시대와 공간에서 양반들이 사유하는 문화와 그들의 애호하는 정도는 상상 이상을 뛰어넘는 풍조를 깊게 들여다보는 시간이 되었다. 양반들이 형성한 명품에 대한 애호와 관심이 어쩌면 더욱 풍성한 양반이라는신분을 드러내는 문화적인 수단으로 발전하게 만든 것이 조선 근대기로 나가는 통로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이해하였다.

근대기에는 신분제의 철폐와 더불어 양반들이 쌓아올렸던 그들의 문화가 깨져버렸지만 이후 유득공 의 경도잡지에서 양반의 욕망을 잘 이해하고 시대의 변화를 쉽게 이해하는 문화의 총체적인이야기가 되고 더 그들을 문화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소중한 시간이 되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