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버멘쉬 - 누구의 시선도 아닌, 내 의지대로 살겠다는 선언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어나니머스 옮김 / RISE(떠오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게된 계기

이 책을 만나게 된 건 정말 우연이었다.

어느 날, 리뷰어스클럽 매니저님께서 리뷰어 등급에게 서평단 모집 소식을 메세지로 보내주셨다.

마침 나도 좋은 책에 목말라 있던 중이라

'이건 기회다!' 싶었고,

망설이지 않고 답장을 보낸 뒤 신청 링크를 작성해 제출했다.

그렇게 잽싸게 신청한 겨로가, 운 좋게 당첨!

그런데 놀랍게도 그렇게 우연히 만난 이 책이

내 인생책 되어버릴 줄은 몰랐다.

참, 인연이라는 건 신기하다.

저자 소개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 (1844-1900) 는 기존 철학의 틀을 부수고 새로운 사유의 지평을 연 혁명적 사상가였다.

그는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선악의 저편>등 파격적인 저작을 통해 전통적인 도덕과 가치관을 근본부터 뒤흔들었다.

니체는 '위버멘쉬(Übermensch)' 개념을 통해 인간은 스스로를 초월해야 하는 존재임을 강조했으며, 기존의 도덕과 규범이 아닌 자신만의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은 죽었다는 선언을 통해 기성 체계가 무너진 이후,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창조하는 인간만이 진정한 자유를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의 사상은 철학뿐만 아니라 문학, 예술, 심리학, 정치 사상에 이르기까지 현대 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니체의 철학은 여전히 많은 이에게 깊은 문제의식을 던지며, 변화를 꿈꾸는 이들에게 끝없는 질문을 던진다.

책 내용 요약

『위버멘쉬』는 니체 철학의 중심 개념인

‘초인(超人, 위버멘쉬)’을 통해

도덕, 정의, 자유, 인간 이해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책이다.

짧은 요약

『위버멘쉬』는 니체 철학의 중심 개념인

‘초인(超人, 위버멘쉬)’을 통해

도덕, 정의, 자유, 인간 이해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책이다.

책은 선과 악이라는 이분법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받아들이기보다,

개인이 자기 의지를 실현하고,

스스로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

진정한 정의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도덕과 법을 보는 시선

도덕은 억압이 아니라

자유를 위한 내면의 길잡이이며,

역시 절대적 정의의 실현이라기보다는

이익과 효율의 균형 속에서 계산된 결과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강자가 약자에게 ‘권리’를 허용하는 이유 또한

도덕이 아닌, 구조적 생존의 전략임을 지적한다.

과거는 비난의 대상이 아니라

통찰과 학습의 자원이며,

사회의 법칙과 철학은 개인의 삶을 돌아보는 창이 된다.

241~242p.

사회학도의 시선으로 본 위버멘쉬


 

[위버멘쉬] 241페이지, 자유의지

241~242P에서는

인간이 자유롭게 행동한다고 믿지만

사실은 자연이나 사회의 법칙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는

사회학적인 통찰이 담겨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태도와 선택의 방식이야말로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이라는 메시지가 인상 깊게 다가온다.

‘악’에 대한 관점도 달라진다.

우리가 죄책감으로 짓눌렸던 작은 실수들이

사실은 인간의 불완전함에서 오는 자연스러운 흔들림이라면, 삶은 덜 무겁고, 더 밝아질 수 있다며

명랑하게 살 수 있는 마음을 갖게 해준다.

낙인이론

<위버멘쉬>에서 말하는 낙인이론

낙인을 찍기보다, 이해의 렌즈로 상대방을 바라보는 노력이 결국은 나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게 한다는 관점 역시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책이 거듭 강조하는 한 문장이 있다

진정한 덕목은

타인의 고통을 대신 짊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스스로 이겨낼 수 있도록

힘을 길러주는 것이다.

타인을 돕기 위해선,

먼저 나 자신을 단단하게 세우는 일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감명깊은 부분

이 책은 단순히 '읽었다'고 하기엔 부족하다.

나는 거의 공부하듯 책을 읽었다.

형광펜은 몇 번을 들었는지 모르겠고,

포스트잇은 덕지덕지 붙어 책 모서리를 가릴 정도였으며,

밑줄은 장마다 끊임없이 그어졌다.

그만큼 머리보다 마음이 먼저 반응했다는 뜻이다.

어느 한 문장 앞에서는 잠시 책장을 넘기지 못하고 멈춰 서 있었고,

다시 돌아와 또 읽고, 생각하고, 곱씹었다.


너덜너덜해진 위버멘쉬

솔직히 말하자면,

이 책은 줄을 긋는게 의미 없을 정도로,

거의 모든 문장이 밑줄 대상이었다.

읽는 내내 책이 아니라

나 자신을 복기하고 있다는 기분이 들었다.


위버멘쉬, 173p. 가장 감명깊게 본 페이지

가장 감명깊게 본 페이지 173p.

어떤 신념이나 도덕적 규범은

우리에게 도달 불가능한 이상을

요구한다.

그리고 그 기준을 지키지 못하면,

스스로에게

너는 잘못된 인간이라고 단정 짓게

만든다.

하지만 당신은 이미

충분히 괜찮은 사람이다.

무리해서 끝없이 타인의 기준에 맞추려 애쓰지 않아도, 당신의 삶은

이미 의미 있고 소중하다.

<위버멘쉬> 니체, 173p.

가장 필요한 건,

스스로를 용서하는 것이다.

<위버멘쉬> 니체, 173p.

인간은 완벽하지 않은 존재다.

그래서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게 가장 자연스럽다.

<위버멘쉬> 니체, 173p.

삶은 죄책감에 빠져 있기엔

너무 짧다.

당신이 느끼는 감정과 본능을

죄로 만들지 마라.

<위버멘쉬> 니체, 173p.

그중에서도 특히 173페이지는 내 마음을 살려준 페이지였다.

과거의 실수, 잘못 살아온 것만 같은 기억들,

그 모든 시간 속에서 나는 나를 너무 오래 미워해왔다.

그런데 이 페이지를 읽고 처음으로

“이제는 나를 용서해도 괜찮겠구나” 하는 마음이 들었다.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완벽하지 않은 나를 사랑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걸

책이 말해주었기 때문이다.

죄책감에 깊이 빠져 있던 내 마음을 조용히 끌어올려준 한 페이지.

그래서 이 페이지는,

나에게 단순히 ‘좋은 문장’이 아니라

삶을 바꾸는 문장이 담긴 순간이었다.

+207-208P.


 

위버멘쉬 207~208P.

인간이 끝없는 고통 속에서도 삶을 포기하지 않도록 희망이라는 무언가를 남겨둔 것이다.

(중략)

희망은 단순한 축복이 아닐 수도 있다.

어쩌면 가장 교묘한 속박일지도 모른다.

<위버멘쉬>,니체, 207p

우리는 희망을 위로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기대와 실망이라는

양면을 가진 감정이다.

조금만 더 기다리면

좋아질거라는 말에

매달리는 동안,

정작 지금 이 순간을 제대로 살지

못할 수도 있다.

<위버멘쉬>,니체,208p

희망은 고통을 없애주지 않는다.

오히려 고통을 견딜 이유를 만들어줄 뿐이다.

희망은 우리를 살게도,

우리를 미끄러지게도 한다.

<위버멘쉬>,니체,208p.

또 하나 오래 남았던 부분은 207~208쪽,

“희망은 축복인가, 속박인가”라는 질문이다.

희망은 언제나 좋은 것이 아니라,

때론 나를 지치게 만드는 책임과 집착일 수도 있다는 걸 이 책은 조용히 알려준다.

"희망은 우리를 살게도, 우리를 미끄러지게도 한다."

이 문장을 읽고 희망조차 내려놓을 수 있었고,

그 순간 마음이 정말 깊고 따뜻하게 풀어졌다.

이 책을 추천하고 싶은 사람

나는 이 책을 읽고, 마음이 참 홀가분해졌다.

그건 단순히 “지금 모습 그대로 괜찮다”는 말 때문만은 아니다.

이 책은 나 자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에서 멈추지 말고,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하려는 의지를 가질 것을 조용히 권한다.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고,

가끔은 흔들려도 괜찮지만,

그 모든 시간 속에서 자신을 미워하지 않는 것,

그리고 스스로에게 의미 있는 삶을 찾아가려는 노력이 진짜 중요하다고 말해준다.

그래서 이 책은,

스스로를 자주 탓하고,

‘나는 왜 이렇게 못났을까’ 하고 마음속에서 자책해왔던 사람에게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특히 속도에 쫓기듯 살아가고 있는 대한민국 사람들,

잠시 멈췄다는 이유만으로 뒤처졌다고 느끼는 사람들,

그 모든 분들에게

이 책이 나처럼 조금은 홀가분한 마음을 전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세상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삶의 의미는 무엇일까’,

‘도덕은 정말 절대적인가’, ‘우리는 진짜 자유로운가’

이런 질문을 품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그중에서도 사회학을 공부하는 이들,

즉 인간과 구조, 가치와 규범을 함께 사유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철학과 삶의 간극을 연결해주는 따뜻한 다리가 되어줄 거라고 믿는다.

『위버멘쉬』는 단지 철학서를 넘어서,

한 사람의 삶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책이자,

이 시대의 조용한 힐링서다.


그 모든 시간 속에서 자신을 미워하지 않는 것,

그리고 스스로에게 의미 있는 삶을 찾아가려는 노력이 진짜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