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그림, 단순한 사람 장욱진
정영목 지음 / 소요서가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영목 선생님의 <단순한 그림 단순한 사람 장욱진>

여리여리한 표지에 끌려 책장을 넘겼다가 묵직하고 강렬한 울림으로 책장을 덮은 책!

지금 국현미 덕수궁관에서 하는 전시<<가장 진지한 고백:장욱진 회고전>>을 보고 나온 사람은 누구나 장욱진 작가에게 감동을 느낄 것이다. 내가 아는 어떤 사람은 미술 애호가가 아님에도 약속 전에 잠깐의 여유가 있어서 장욱진 전시를 보러 갔다가 너무 좋아 중간에 나올 수가 없어서 약속을 취소하고 2시간 넘게 전시를 보았다고 한다.(그가 약속을 취소한 것은 안타깝지만 내가 이 전시는 꼭 봐야 한다고 열변을 토했던 보람이 있었다:))

그만큼 그의 작업은 누가 보아도 끌리고 처음 보고 또 볼수록 끌린다.

오래전에 읽었던 그의 말이 생각난다.

그림처럼 정확한 나의 분신은 없다. 나는 나의 그림에 나를 고백하고 나를 녹여서 넣는다.”

이 말이 나에게는 오래도록 남았기에 그의 그림 속에서 장욱진이라는 사람의 이 모습 저 모습이 보였다. 하지만 그의 작품은 그저 좋다거나 그 안에서 작가가 보인다고만 말하기에는 뭔가 부족했다. 그 안에 어떤 것이 더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내가 무언가를 늘 놓치는 듯했다.

이번에 <..>을 읽으면서 내가 미처 간파하지 못한 것을 찾았고 체계적으로 그의 세계를 볼 수 있었다.

 

..장을 읽으며 짚어본 몇 가지

bon point 1_ 종이

미술책을 보는 사람들은 안다. 종이가 무광이면 도판이 그지같고 종이가 유광이면 번뜩임 때문에 글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이 책은 도판의 색감을 충분히 살리면서 번뜩임도 없는 접점을 잘 찾아냈다.

 

bon point 2_ 제본

책장이 쫘악 펼쳐지는 사철제본은 책장 넘김을 쉽게 하고 책의 양면이 한눈에 들어와서 가독력이 상당히 좋다. 내가 좋아하는 말이 한땀 한땀노력으로 공 들인다는 것인데 이 책이야말로 한 땀 한 땀 정성으로 만든 것 같이 느껴진다.

 

bon point 3_ 말투

이 책은 문어체 형태의 나열로 텍스트를 구성한 것이 아니라 구어체가 배어있다. 가령, ‘실로 미술도 사람의 일이라 사람이 그림보다 앞서 이야기되는 경우가 많다.’(p41) 라는 부분처럼 작가에 대한 정보를 문헌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구술을 듣는 듯해서 좋다.

 

bon point 4_ 구성

작품을 분석해 주고 작품들을 이어서 보게 만든 구성이 흥미로웠다. ‘작은 그림, 큰 주제부분에서 장욱진 그림을 여러 구도로 보여주며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설명한다. 프레임으로 설명한 후 그 작품들을 뒷부분에 연이어 실어 놓아 작품 속에서 느껴보게 하는 방식이 독자에게 유용한 부분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각주가 페이지 아래에 실리는데 이 책은 페이지 좌측에 실려 색다른 느낌이 든다.

 

bon point 5_ 노력

책 한 권을 만들어 내려고 했던 노력이 보이는 부분들이 많다. 다양한 문헌을 찾아 적절하게 인용하고, 책에 실린 도판의 캡션을 소장처까지 찾아 그것이 실린 페이지를 명시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부분, 가독력 좋은 서체와 크기를 보면 세심한 노력과 정성으로 만들었다는 생각이 든다.

 

un point regrettable

약간의 조사 오류(이건 내가 텍스트에 민감한 탓;;;)나 표지의 연약함이 아쉬운 부분이다. 처음 나에게 올 때에도 한 귀퉁이가 긁혀서 온 이 아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상처가 벌어지고 내 손이 닿을 때마다 손때가 물씬물씬 묻어난다.(분명히 손을 깨끗이 씻고 책을 보는데도...) 오래 간직하기 위해서는 책장에 고이 꽂아두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있기도 하지만 그래도 예쁘다.

 

<단순한 그림 단순한 사람 장욱진>을 안 봐도 장욱진 작품을 느낄 수 있고 좋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을 보면 그에 대한 깊은 매력과 울림을 느낄 수 있다. 그 매력을 보게 되고 그 울림을 듣게 되면 벅찬 짜릿함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게 될 것이다.

그리는 행위의 집중과 반복으로 몰입의 어느 순간 흰 캔버스의 두려움은 사라지고 의도하지 않은 어떤 그림이 만들어지면 내가 그림인지 그림이 나인지자연과 나와 그림의 일체감이 찾아올 때 작가의 가슴은 뛴다.’ (p237)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료로 제공받았습니다"


‘그리는 행위의 집중과 반복으로 몰입의 어느 순간 ’흰 캔버스의 두려움‘은 사라지고 의도하지 않은 어떤 그림이 만들어지면 ’내가 그림인지 그림이 나인지‘ 자연과 나와 그림의 일체감이 찾아올 때 작가의 가슴은 뛴다.’ (p237) - P2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