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가 되는 한국대표고전 1 ㅣ 공부가 되는 시리즈
글공작소 지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11년 10월
평점 :
고전하면~~ 아무래도 '권선징악'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우리의 옛 소설의 주제는 대부분 착한 사람은 상을 받고 악한 사람은 결국에는
벌을 받는 다는 이야기가 주를 이루는게 사실이다.
그리고 고전하면....학창시절 최초의 한글소설은 허균의 '홍길동전'이고, 최초의 한문소설은
김시습의 '금오신화'...'이렇게 누구의 무엇' 하는 식의 암기식으로,
작품을 보는게 아니고 작가와 제목만 알고 있는게 대부분이였다.
그런데 이 책 한국대표 고전1은 교훈이 깃든 의인화 소설, 영웅들의 이야기, 여성문학, 풍자와 해악이 깃든 이야기등 여러장르의 고전을 두루두루 읽을 수 있었다.
의인화 소설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임춘의 '공방전'은 화폐를 의인화한 소설인데 그 당시에도 지금에도 '화폐'는 있어도 골치, 없어도 골치인 그러면서도 꼭 필요했던 것 중이 하나였다. 그러나 너무 돈을 쫒다보면 벌을 받게 되니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
이규보의 '국선생전' 역시 술을 의인화한 소설로 읽는 이로 하여금 술을 과음하지 않도록 주의를 주고 있는데 ,이밖의 의인화소설은 대나무를 의인화한 '죽부인전'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영웅의 이야기, 박씨전과 홍길동전은 읽으면서도 얼마나 재미있던지...특히 홍길동전은 조선시대의 신분사회를 엿 볼 수 있어서 그 시대의 신분제도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 여성들의 빼어난 문학솜씨도 자랑할 만한데 인현왕후전은 역사드라마로 익히 많이 알려진 인물로서 안타까움이 많았고, 여인들의 살림살이의 하나인 바늘이야기인 조침문과 일곱친구의 이야기 규중칠우쟁론기를 읽으면서 바늘, 가위, 자, 인두,다리미,실,골무를 부르는 말들이 참 재미있었다..
마지막으로 풍자와 해학이 깃든 소설은 판소리 마당을 절로 떠올리게 하였는데...
장끼전과 배비장전은 조선시대 서민문학을 대표하는 장르여서 그런가 웃음이 절로 나오는 장면들이 많았는데 특히 배비장의 모습이 절로 그려지는 터라 웃음이 터져나왔다.
김만중의 구운몽은 몽자류 소설로 세상에 대한 욕심들이 한 낮 꿈에 불과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으며, 역시나 잘 알려진 장화홍련전은 읽으면서도 얼마나 안타깝고 속상하고...
왜, 사람들은 겉으로 보이는 것만 믿으려할까? 하는 생각에 이런 어라석음을 돌려 깨우쳐주려고 하니 이런 소설들이 만들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게 되었다.
그러나 옛날이나 지금이나 인간의 어리석음은 다르지 않은 듯...
우리 선조들의 모습들을 항상 생각하면서 선조들이 남겨준 교훈을 마음 깊이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