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오미와 가나코
오쿠다 히데오 지음, 김해용 옮김 / 예담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이 정도의 무게감이 필요했다. 한참 전에 p님께 재밌다는 얘길 들었는데, 이제야 읽었다. 편두통이 사라질 뻔한 결말이라 안도했다.
-
-
불의에 맞서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끔찍하고 지긋지긋한 피해자 역할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궁지에 몰렸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가 있다. 어떤 희망이나 해결책을 생각할 수도 없는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 법과 정의가 살아 있어서 호소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법과 정의는 밝은 곳에 있어 어둠에 못 미치는 일이 많다. 그 때 우리에겐 어떤 선택이 남겨질까. 가장 극단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최악의 시나리오가 구원의 동앗줄처럼 여겨진다. 일단 저지르면 돌이킬 수 없다. 다른 길 따위는 없는 것처럼 여겨진다.
-
-
우리를 강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일어서고 힘을 내고 없는 머리를 쥐어짜고 내달리고 정신차리게 만드는 그 것은 모두 다를 것이다. 내게는 무엇, 네게는 무엇. 그렇다면 우리를 예민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평소와 같은 내가 아니라 더 날카롭고 예민하게 반응하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내겐 유독 예민한 부분들이 있다. 먼저 식탁에서 불편한 분위기가 생기는 것이 싫다. 얘기는 밥 먹고 그 다음에 진지하게 하는 게 좋다. 체할 것 같은 상황은 너무 싫다. 그리고 일상적인 공중도덕이나 법의 위반을 싫어한다. 쓰레기 무단투기, 가벼운 음주운전, 안전불감증,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과 공공기물 파손 등이 싫다. 약자에 대한 폭력이나 혐오도 너무 싫다. 동물학대도 싫고 비속어 사용도 싫고 강요와 압박에 늘 반기를 든다. 낱낱이 세다보면 싫은 게 너무 많고 좋은 건 얼마 안되는 불평불만분자가 된 기분이다. 그렇다고 내가 바른생활인간이냐 하면 전혀 그렇지도 않아서 제멋대로 산다. 취향이든 성격이든 제멋대로 좋을대로 사는 편이 좋다고 생각한다.
-
-
우리는 불식간에 나쁜 것은 생각지 않으려 한다. 그런 얘기 해봐야 기분만 나쁘다고 누가 해결해줄 수 없는 문제라고 내 운이 나쁘고 상황은 어쩔 수 없다고 참는 것외에 선택지가 없다고. 물론 그런 순간들이 있다. 내게도 있었고 지나왔고 또 마주하게 될 지도 모르겠다. 내가 아는 것은 그런 순간에도 분명 누군가 있다는 것이다. 누군가 있어서 단순히 대화상대가 되줄 수도 있고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물론 그런 누군가가 있다는 것은 나름 열심히 잘 살아왔다는 반증이므로 감사히 받아들이면 된다.
-
-
델마와 루이스. 나오미와 가나코. 가는 데까지 가보자. 할 수 있는 데 까지 해보자. 물론 살인을 권장하진 않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