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뜨겁게
배지영 지음 / 은행나무 / 2017년 10월
평점 :
품절


처음 만나는 작가다. 어디 소설집에서 만났을 수도 있지만 기억에 없다. 은행나무 출판사의 은혜로 좋은 책들을 두루 만나고 있어 즐겁다(물론 서평단에 용감히 신청해서지만-). 서평단의 책이 오면 늘 선물받은 기분이라 먼저 읽게 된다. 이번에는 몹시 적절한 순간이었다. 너무 슬픈 소설집을 읽고 많이 울고 많이 외로웠던 차에 읽은 이 소설은 아주 매력적이었다.
-
-
불안과 체념에 억눌린 삶을 살아간다. 대부분이 그렇다. 어린이도 젊은이도 꿈을 가지기 어렵다. ‘잠을 자야 꿈을 꿀 게 아닌가’라는 농담처럼 잠을 자고 생각을 다듬을 시간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기껏 꿈을 가져도 ‘비현실적이고 철없는’ 것으로 간주되기 일 수다. 꿈도 없이 체념하고 포기한 주제에 라며 비난하기 전에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주고 좋아하는 것을 찾을 시간도 주고 천천히 실패할 기회도 주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너무 답답하지만 지극히 현실적인 인물과 어디에서도 마주하기 힘든 인물이 만난다. 그들은 서로에게 위로 받았을까? 아- 사랑이야기 면서도 사랑이야기는 아니다. 지난 사랑의 기억에 붙들려 있지만 또 막 절절하진 않다. 그래도 사랑이, 사람이 가고 난 자리는 너무 선명하게 남고 그 순간은 어딘지 실제가 아닌 환상처럼 기억된다. 덩어리진 아픈 기억 하나 없는 이가 세상에 어디 있겠는가.
-
-
하지만 이 글은 몹시 참신하다. 너무 뻔하고 그래서 막막한 이야기에 외계인이 등장한다. 말도 안되는 납득하기 힘든 당황스러운 이야기가 전개되는 것이다. 그저 외면하고 무시할 수는 없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사실은 믿고 싶은 것이다. 그렇게 사라진 것에는 이유가 있다고 내 기억을 내가 온전히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분명 다른 이야기가 있을 거라고. 그렇게 믿고 싶은 것이다.
-
-
우스갯소리를 작가는 소설로 만들어 냈다. 적당한 무게감을 가지고 우습지도 않고 구질구질하지도 않고 허무맹랑하지도 않은 진심이 담긴 이야기. 우리는 그 무시할 수 없는 진심을 왜 감추며 살아야 할까. 알고보면 다들 귀엽고 사랑스러운 구석이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괴롭히며 살아야 할까.
-
-
이야기 적인 재미와 불안에 가득찬 사람들에게 주는 적당한 거리감의 위로와 무시당하는 존재들의 속마음을 엿볼 수 있다. 사실 기대 이상이고 몹시 만족스럽다. 작가는 이야기를 버무릴 줄 아는 것이다. 여지를 충분히 남겨두고 누구에게는 판타지로 누구에게는 감성소설로 누구에게는 현대문학으로 다가간다. 이 작가의 글을 더 만나봐야겠다. 한국의 젊은 작가들은 이렇게 다양하고 재미난 이야기를 가지고 있구나 싶어서 더욱 반갑다.
-
-
아, 작가는 그 노래를 알까? ‘또다시 말해주오, 사랑하고 있다고~’로 시작하는 쟈니 리의 뜨거운 안녕이라는 노래. 찾아봤더니 싸이나 토이의 동명의 곡이 있다. 내가 확 늙어버린 이 기분=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