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을 먹는 나무
프랜시스 하딩 지음, 박산호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9월
평점 :
품절


약간 집중해서 읽어야 한다. 어딘지 감정적이고 즉흥적인 부분이 많고 두서없는 느낌인데 화자가 아직 14세 소녀라는 점을 감안하면 납득이 된다. 끔찍한 동화와 정체성에의 확인과 좁은 세계의 시선에 대해 가족을 통해 그려냈다.
아무리 똑똑해도 인정받을 수 없는 3겹의 드레스를 입고 동생이나 돌봐야하는 14세 소녀가 늘 올곧고 지적이고 냉철한 아버지를 존경하고 두려워하는 반면 아름다운 미모에 치장에 신경쓰는 어머니를 멸시하는 것을 보며 꼭 같진 않더라도 내 어릴적을 떠올렸다.
-
-
아버지의 고향에서 성장한 나는 종종 동네에서 아버지의 총각시절에 대해 들었다. 시골 동네의 훤칠하고 사람좋은 공무원, 집에는 우리 책보다 아버지 책이 많았고. 어딜가도 누구 딸이라는 말을 듣던 어린시절이었다. 더군다나 소극적이고 조용했던 동생을 더 아끼셨던 어머니와 달리 아버지는 내게 기대가 많으셨다. 나를 힘들게 하고 늘 불만이 가득해 보였던 어머니를 이해하고 인정하기까진 시간이 필요했다. 부모 자식의 관계에서 벗어나 개인 대 개인으로 찬찬히 생각하다보면 그럴 수 밖에 없었던 어머니를 만나고 가정적이지 못했던 아버지를 발견한다. 불가피한 현실을 인지한 후에나 가능한 것이었다. 다정하고 밝은 어머니는 어머니 혼자서 해낼 수 있는 게 아니었다. 일찍 알게 된 것을 다행이라 생각한다.
-
-
거짓말을 먹고 나무가 자라난다. 음침한 냄새를 풍기며 시커먼 덩굴을 뻗는다. 불안과 공포와 긴장 속에서 시작된 속삭이는 거짓말은 순식간에 스스로 날개를 달고 제 몸을 키운다. 예상을 훌쩍 뛰어넘어 엄청난 것이 되버리고 만다. 어쩔 수 없었다고 달리 방법이 없었다고 그렇게 해야만 했다고 해봐야 이미 수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고 혼자 감당해낼 수 없다. 내가 아직 솔직한 지, 어처구니없는 거짓말로 시작한 실체없는 혼란 속에서 허우적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적어도 나 자신은 거짓과 진실을 구분할 수 있는지 스스로를 속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
-
“너에겐 깨끗한 새 영혼이 있어, 그걸 버리지 마!”
깨끗한 새 영혼까진 아니라도 깨끗한 부분이 조금 남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