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페미니스트 - 아이를 페미니스트로 키우는 열다섯 가지 방법 쏜살 문고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134
[ 엄마는 페미니스트 -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
읽을까 말까 망설였다. 책에도 나와 있듯이 모든 사회규범은 인간이 만들었고 그것은 각 사회마다 달라서 모두에게 공통되게 적용할 수 없다. 그래서 내가 가장 잘 아는 언어와 문화 속에서 페미니즘(나는 여전히 이 단어에 거부감이 있다. 단어가 주는 여성적인 느낌,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실 무엇보다 나는 그것이 모든 인류와 사회에 대한 교육이라 생각했지 ‘페미니즘’ 교육이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
-
페미니즘, 성에 앞서 모들 차별에 반대한다. 그 누구도 부당한 대우를 받아선 안되고 억울한 일을 겪어선 안된다. 어떤 차이도 차별의 이유가 될 수 없고 모든 인류의 모든 인간이 모두 다른 것은 그래야하기 때문이다. 그래야만 인류는 지속되고 발전하고 진화할 수 있다. 에 대해 말해왔다. 계속. 상황에 맞춰, 아이가 이해할 수 있는 단어로 아이가 납득할 수 있는 예시를 들어서.
-
내게 페미니즘은 인간의 존엄성을 기반으로 한다. 모든 인간의 저마다 다른 가치. 그것이 좋고 훌륭하고 대단하고 근사하지 않아도 생명 자체가 가지는 존엄성을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네가 소중하고 그래서 남도 소중하고 그래서 동물도 식물도 귀하고 그래서 존중되고 보호되야 하며 우리 누구에게도 타인을 재단하고 파괴할 권리가 없다는 인식이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닐까? 모든 인간은 동등하다. 모든 인간은 존중받아 마땅하다.를 가르쳐야 한다. 다른 어떤 것보다도 중요하다. 우리는 우리 자신도 그 인간의 부류에 속한 다는 것을 자꾸 잊는다.
-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여자라서 남자라서 아이라서 어른이라서 부자여서 가난해서 많이 배워서 못 배워서 피부색이 달라서 종교가 달라서 국가가 달라서’가 아닌 모두 같은 기준.으로 바라보는 것이 먼저다. 각 사회의 관습이나 규범은 부차적인 기준일 뿐 모든 기준은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나와 모든 타인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가치와 기준. 감정적인 부분은 감정과 기분에게 맞기자. 말도 안되는 논리를 적용해 합리화하지 말고 순순히 기분문제임을 인정하자. 그렇다면 생각은 변할 수 있다.
-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고 내가 변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이 교육을 위해서도 그렇지만 한번 쯤 다시 생각해봐도 좋을 것이다. 나는 어떤 기준을 가지고 어떻게 적용해 왔는가. 확인할 수 있을지도!

#엄마는페미니스트 #치마만다응고지아디치에 #민음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