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자를 수선하기
마일리스 드 케랑갈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김슨생은 이 글이 묘하게 느려서 집중하기 힘들다고 했다. 내겐 좀 달랐다. 독특한 속도감. 막 달음치는 구간이 있고 멈춰선 듯한 구간이 있다. 문장의 속도감에 적응할 수 없어서 급했다가 늘어지는 상황이 반복되며 긴장을 더했다.
- '수선'이라는 단어는 원작 그대로인지 번역하며 따라붙은 것일지 모르겠다. 그 '수선하다'와 '생명'의 대비가 너무도 선명해서 거부감이 들다가도 장기이식의 처음부터 끝.을 모두 풀어낸 이야기에서 '수선하다'는 단어는 너무도 적절했다.
- 장기이식의 처음부터 끝. 모든 인물이 그려졌다. 그 장기이식에 관계된 모두, 그들 각자에겐 너무 다른 제멋대로의 일상이 있다. 그렇지만 그들은 생명을 옮겼다. 살아있는 듯 죽은 자인 시몽과 시몽의 마지막을 결정한 의사와 시몽의 생명을 나누는 것에 동의한 그의 부모와 시몽의 심장이었던 쥘리에트와 시몽의 심장을 꺼낸 비르질리오와 시몽에게 심장은 받은 클레르와 클레르에게 시몽의 심장을 옮긴 아르팡과 그 중심에 있던 토마. 그들 모두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 나는 한번도 그런식으로 생각해본 적이 없다. 생명이 여기서 저기로 옮겨지고에서 둘. 주는자와 받는자 그리고 그의 가족들 이상은 생각해본 적이 없다. 그리고 그들에게 너무도 평이하고 너무도 다양한 일상이 있다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 '장기이식'이 아니어도 모든 순간 모두에게 각자의 삶이 있다. 그것이 어떻게 닿아 있든 그들 각자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든 그들은 살아왔고 살아간다. 그 살아감에 대해 별거 아닌 치열함에 대해 놀라게 된다. 살아있는 모든 자들은 대단하다. 그 생명은 놀랍다.
- 한참전에 장기기증 서약을 해두었다. 쓸모있는 몸뚱이가 되면 참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