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여자들
록산 게이 지음, 김선형 옮김 / 사이행성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 어려운 여자들 - 록산 게이 ]
고작 150쪽의 짧은 글을 읽으면서 이렇게 잔인하게 파헤쳐질 수 있을까? 견디기 힘들지만 마주해야할 현실이다. 그저 소설 속 이야기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절대로 안된다.

다른 생각은 하나도 나지 않았고 그저 상처를 쿡쿡 파헤쳐 어디까지 스스로를 아프게 할 수 있을까, 오로지 그 생각만 했다. 53p
: 자기파괴가 자학이나 자해가 본능일 수 있을까? 아무 이유없이 아무 근거없이 나 자신을 학대할 수 있을까? 아무 생각없이 그들을 비난하기만 할텐가?
한 번은 남자 친구에게 이런 걱정거리들을 털어놓은 적이 있는데 그가 말했다. "자기 완전히 미쳤구나." 직장에서 새로 사귄 친구에게 똑같은 말을 했더니 그녀가 말했다. "자기는 미친 게 아니야. 여자일 뿐이야." 58p
: 가장 잔인한 것은 같은 여자들에게조차 이해받지 못하는 순간이다. 그 공포와 고통을 망상에서 비롯되었다 여기는 사람들 속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끔찍한 일이다.

이게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방식이야. 끝내는 당신이 내 안의 모든 걸 알게 될 때까지 껍질을 한 겹 한 겹 벗겨내고 있는거야. 125p
: 고백하고 싶지않지만 고백해야하고 몰랐으면 하지만 알려야한다. 이래도 나를 사랑할래?라고 쏘아붙이는 것이 아닌 두려움을 안은 간절한 소망이다.

그 순간에는 한없이 가엽고 비천한 존재가 된 기분이었어. 128p
: 우리는 어떤 순간에도 그런 존재가 되어선 안되는 게 아닐까? 누구도 그런 존재여선 안되지 않을까?

당신이 다시 호숫가를 가리키며 말하지, 우리가 같이 있으면 얼마나 멀리 올 수 있는지 보라고, 그런 순간에 어김없이 난 울컥 목이 메어. 130p
: 사랑이 사랑으로 들리지 않고 고백이 반갑지 않고 소망을 품을 수 없을 때, 예쁘고 다정한 순간들은 더 세게 사람을 할퀸다. 겨우 버티며 일말의 소망을 품어도 될까, 내게 그게 허락될까에 대해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우리는 피해자를 동정하면서도 조롱한다. 그들의 약함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 가해자의 입장을 고려해준다. 성격적 기질, 어두운 과거, 술, 심리적 질병, 생리적 특징 등등 다양한 이유로 가해자를 보호한다. 피해자의 공포와 고통에 대해 너무도 무지하다. 피해자가 숨고 피하고 감추며 살아가야 하는 세상은 너무도 끔찍하다. 알고 싶지 않고 굳이 긁어서 부스럼을 만들 필요가 없이 없던 일오 치부하는 편이 좋다고 외면하는 이유는 정확히 무엇인가? 불편한 진실은 모른 척 해도 되는가? 피해자는 영원히 고통받아야 하는가? 없던 일인 척 한다고 그 일의 기억이 그 상처가 그 공포와 고통이 한 점이라도 사라지는가? 우리는 우리보다 약한 자를 위해 싸워야한다. 우리가 정의로워서가 아니라 우리도 언제든 약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명하고 정당하고 확실하게 하지만 아주 느리고 힘겹고 지칠때까지 싸워야한다. 일부의 문제라고 생각해선 안된다-고 다시금 다짐하게 된다. 이 소설집은 그것을 위한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