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라 시대의 사랑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8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묘사가 아주 근사한 글이라는 점을 밝힌다. 가장 먼저 언급하는 이유는 이것이 고전의 매력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머머머- 뒤 표지의 ‘달콤한 러브 스토리’라는 설명이나 제목에서부터 ‘사랑’을 전면 부각한 것과는 다르게 이게 어디 사랑이란 말인가. 사랑, 욕망, 집착 사이 어느 것이든 그것의 개념을 단정할 근거도 없는 내겐 뭐 비슷비슷한 것들 이니 대충 한데 묶어보자 하는 마음마저 든다.
_
작가들의 관찰력이 시대와 상식을 뛰어넘는 경우를 자주 만난다. 한참의 과거, 그려지지 않는 시대를 살며 현재의 나를 공감케 하는 관찰력. 그런 이유로 인간은 여전히 비슷한 모양새로 살아가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스스로를 들여다보는 작가와 세계를 들여다보는 작가의 차이가 있다면 스스로를 들여다보는 작가는 개인의 내밀함을 비추고 세계를 들여다보는 작가는 관계와 사회를 비춘다. 그런 장점들의 반대편엔 나를 보는데 골몰한 나머지 다른 것들에 대해선 관찰력도 분석력도 남기지 못한 다거나, 세상에 집중한 나머지 사는 게 그렇다고 말하고 만다는 점이다. 그 점에서 마르케스는 후자라 할 수 있다.
_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주 역겹다. 사랑이라는 이름을 안전한 곳에 올려두고 마음은 온전히 그곳에 있다고 간단히 자신을 속인 뒤, 최선을 다해 막 산 것에 대해 거리낌 없이 변명한다. 아, 그 어디에 지고지순이나 낭만이 있는가. 순정마초라는 어이없는 농담과 같다. 아름다운 문장과 묘사 세세한 관찰력과 위트에도 불구하고 견딜 수 없는 부분들이 있다. 이 무슨 괴상한 이야기란 말인가. 아, 마르케스가 마술적 사실주의의 창시자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되지. 뭐든 간에 내겐 이 이야기가 거대한 사랑이 아닌 거대한 조롱으로 여겨졌다. 그들이 마침내 찾은 것이 사랑이라고 인정할 수 없다.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숱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를 인정하기란 힘들다. 그러거나 말거나 그들이 사랑이라는데 제 3자도 아니고 구경꾼도 못되는 내가 가타부타 할 수는 없겠지. 그러시겠지, 뭐. 그런 사랑이 없으리란 법도 없지.
_
이 이상한 작가를 다시 만날 것인지 말것인지 좀 숙고해볼 필요가 있다. 기질적으로 안 맞는 걸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