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와 어부 새 개암 그림책 3
스테판 세네가 글.그림, 이정주 옮김 / 개암나무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어부와 어부 새
글.그림: 스테판 세네가/ 옮김 : 이정주

개암나무

 

 

 

표지에서 느껴지듯 동양적인 수묵화 느낌이 물씬 풍기는 색다른 동화네요

하지만 이책의 작가는 동양인이 아닌 프랑스인이라는게 독특하네요

배경은 또 중국이더라구요 

-가장 큰 영광은 한번도 실패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실패할 때 마다 다시 일어서는 것이다-

라고 공자의 명언을 책내용을 들어가기 전에 읽으면서 가마우지 새가 등장을 해요 

 

가마우지는 몸이 검고 부리가 긴 새로 몸집은 자그마하고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어

물속에 들어가 헤엄치며 물고기를 잡아먹는다고 하네요

가마우지 라는 말은 익숙했지만 새의 이름인지 몰랐어요

또 가마우지 낚시가 티비를 통해 가마우지의 목을 묶어 사냥해 온 물고기를 토해 내게 하는

모습이 잔인하다며 화제와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는데  

이 책을 읽다보면 중국인들이  수십 년의 세월을 함께해 온 그들의 관계 속에서

우리가 잘알고 있는 악어와 악어새 이야기처럼 가마우지와 인간의

서로 의 삶을 도와 주는 공생의 모습이

그들만의 소중한 가치가 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하게 하네요 


 프랑스 작가의 동양화의 느낌을 아주 잘 살려낸 그림들을 보면서 절제된 글과 함께

동양적인 여백의 미도 함께 느끼고 사색할수 있는 점도 인상적이라고 할까요.


어부와 가마우지의 공생은 상대방을 생각하고 위하는 마음에서 비롯됩니다. 나의 이익을 먼저 좇는 것이 아니라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먼저 작용함에 따라 서로의 부족한 점이 채워지는 것이지요.


서로의 모자라는 점을 도와주며 배려하는 맘을 배울수가 있더라구요

나와 남 그리고 동물과 인과 사이에서 서로를 배려하는 진정한 공생의 가치를 말이에요

중국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마우지 낚시를 바탕으로 꾸며진 이 이야기는 사람과동물이

서로 평화롭게 살아가는 지혜를 배우게 해주고

그속에서 행복을 찾는 잔잔한 여운을 전해 주는

외톨이 새 가마우지와 어부 할아버지의 아름다운 우정으로

글은 많지 않지만 그만큼 읽는 이로 하여금 더 많은 생각을 해보게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