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병:맛 2 - 청록, 얼얼하고 질긴
스튜디오 어중간 편집부 지음 / 스튜디오어중간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젊다는 것을 생각하면 건강, 긍정, 도전, 실패, 미래,,, 이런 단어들이 생각나요. 질병, 아픔, 쉼, 요양 등의 단어는 젊음과는 먼 단어라고 막연히 생각했어요.
매거진 병:맛을 읽으며 병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편협한 시선으로 가득 차 있는 '저 자신'을 마주했어요. 콧물이 찔금 나던 지극히 사소한 증상부터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해 심장 수술을 받아야 했던 일까지. 달이 차고 해가 가기를 거듭하면서 그 기억은 아주 멀어졌지만 '내 몸'이 아팠던 경험들을 되짚어 보는 건 쉽지가 않았어요. 이렇게 자신의 병을 온전히 보여주고 이야기하는 젊은 투병인들이 자신의 삶을 대하는 긍정적 태도가 대단해 보였어요.

병:맛 Taste
쓰고 탁한 '맛없는' 한약 같다고 할까요? 맛을 음미할 새도 없이 코를 막고 들이켜기 바빠요. p.47
쓰린 맛, 너무 매운 걸 먹어서 그다음에 뭘 먹어도 혀가 쓰라린 그런 맛이요. p.71

'틱' 장애와 함께 사는 이민재님, 투병인의 보호자였던 2년 차 사별자 정하은님, 암 경험자로 다른 환자들의 삶을 돕는 정승훈님, 암과 함께 할 때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요리를 소개하는 소중한님,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는 분들이 어떻게 투병의 시간을 지내오고 있는지, 생생하게 경험하고 깨달은 바를 내 삶에 대해 이야기해요. 사진, 퍼스먼스, 일러스트 등 다양한 분야들을 넘나들며 함께 '얼얼하고 질긴 병:맛'에 대해 말해요.

아침마다 생고구마와 삶은 닭 가슴살을 꼬박꼬박 먹으면 가장 좋겠지만 매일 그럴 순 없는 노릇 아닌가. 소중한

나는 오늘도 혹시 모를 일에 대비해 이부자리를 깨끗하게 정리하고 외출하는 사람이지만, 더 이상 불안에 잠식된 삶을 살지 않는다. 적어도 화폭에 내가 동경하는 삶이 담겨 있으니 괜찮다. 백지현

저에게 틱이란 '두통이 왔을 때 아스피린 먹는다' 그런 공식이 적용되지 않는 병이에요. 지금까지 제가 경험한 틱은 삶ㅁ에서 계속 껴안고 가야 하는 병이거든요. 그래서 주체성과 주도성을 찾는 게 굉장히 중요한 일 같아요. 저는 몰입하는 행위에서 이걸 찾았고, 누군가에게 몰입은 춤이거나 글쓰기 혹은 연기가 될 수도 있겠죠. 각자 몰입이 가능한 어떤 세계를 만들고 그 속에서 주도성, 주체성을 찾으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이민재

아픔과 고통, 후회, 배신, 기억에 대한 미화, 혼자 남았다는 외로움과 상실감, 살아야 한다는 공포와 두려움. 모든 걸 겪어야만 이겨낼 힘이 생기는 것 같아요. 누구나 예비 사별자에요. 지금이 아니더라도 분명 한번은 겪을 일을 저는 조금 더 빨리 겪은 선배라고 생각해요. 짱하로그 정하은

2023투병 청년에 대한 이야기, 하지만 불안하지도 그저 슬프지도 않아요. 병에 걸린 환자가 아니라 한 명 한 명의 인간으로 존중받는다는 느낌이 좋아요. 건강하지 않다는 딱 2가지만 존재하지 않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그 사이에 존재하는 수많은 점들 그 어디쯤, '어중간'하게 걸쳐져 있는 거지요. '투병'에 대한 다양한 시선과 태도로 접근하는 이야기들에게 전보다는 더 넓은 시야로 바라보게 되어요.

'얼마나 인간답게 살 것인가'를 고민하며 오늘을 살아가는 젊은 투병인을 응원합니다

#매거진병맛 #청년투병 #영케어러 #스튜디오어중간 #젊은투병인 #청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