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 아는 척하기 - 잡학으로 가까워지는
박정석 지음 / 반석북스 / 2024년 12월
평점 :
가깝고 먼 나라 일본. 이제 1년에 1,000만 정도의 사람들이 방문하는 나라가 되었다. 이와 반대로 국내 여행지는 불경기와 소비 둔화로 직격탄을 맞고 있다. 국내는 텅 빈 식당과 상점들 점점 문을 닫는 가게들이 늘어나지만, 공항과 일본의 유명 관광지는 한국인 천지다. 이제 여행으로만 한정하면 사실상 국내 여행지의 위치다. 이렇게 가까운 일본 그러나 내면은 너무나도 다르다. 개인을 중시하는 한국. 화(和) 즉 전체를 중시하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 입히는 것을 극도로 꺼리는 일본. 그 일본과 일본인들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은 없을까? 이런 궁금즘에서 읽기 시작한 책이 있다. 바로 박정석의 [잡학으로 가까워지는 일본 아는 척하기]다.
이 책의 서문은 한일의 오랜 역사와 관계. 왜구들을 설명하면서 책을 시작한다. 우리나라 해안가를 노략질한 일본 해적들. 그러나 일본의 역사책을 보면 신라구 또는 고려구들에 대한 기록이 가득하다. 무쿠리고쿠리 일본에서 무서운 것을 뜻하는 말이다. 이 단어의 몽골군과 고려군을 뜻한다. 일본에게 일방적으로 당한 것만을 기억하는 대부분이 이 말을 들으면 놀랄 것이다.
미국에 가서 스쿨버스가 정차할 때 그 앞을 앞지르거나 고속으로 차를 달린다면 바로 신고를 당할 것이다. 미국에서 스쿨버스는 성역이다. 그렇다면 일본에서 지킬 예절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 우리나라에서 카페나 도서관에서 휴대폰이나 노트북을 충전하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이는 범죄 즉 절도로 인식된다. 일본인들은 직장에서도 함부로 폰을 충전시키지 않는다. 한국에서 밥그릇을 들고 먹으면 “아니 저 사람 뭐야” 이런 소리를 듣게 될 것이지만, 일본에서는 이게 일상이다. 일본에서 카드 결제를 한 후 우리나라에서처럼 대충 사인을 하다가는 높은 확률로 바로 여권을 달라는 소리를 듣게 된다.
이 책은 이렇게 일본 여행을 많이 해본 사람이라면 알 수 있는 상식은 물론, 일본의 수도 도쿄, 일본의 아날로그 문화, 요시다 쇼인, 천황, 사무라이와 할복 등을 통해서 일본을 깊이 파고든다.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아직도 일본에 가서 물건을 구입하면 영수증에 도장을 찍어주고, 카드 등을 일절 받지 않는 가게들이 많아서 놀란다. 아날로그 저팬. 빨리, 빨리도 부족한 한국인들이 생소하지만,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는 일상이다. 내년 1월 20번째 일본 여행을 앞두고 일본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