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파워 미국의 핵전력 - ‘핵무기 있는 세상’의 실체에 접근하는 취재 기록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와타나베 다카시 지음, 김남은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45년 핵폭탄 2방을 얻어맞은 일본은 이 핵 때문에, 미국 등 연합군에 항복했다고 배웠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일본이 서둘러 항복한 것은 소련군의 만주 진군 때문으로, 더 지체하다가는 독일처럼 나라가 둘로 쪼개질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핵의 위력은 너무나도 강력했다. 한국전쟁에 불법 참전한 중공에 대한 응징으로 핵무기를 쓰는 것이 고려되었지만, 유럽의 영국, 프랑스 등이 강력하게 반대한다. 이런 반대는 당시에는 평화를 위해서라고 포장되었으나, 사실 소련이 이미 핵을 개발했기에, 영국과 프랑스가 보복당하는 것이, 두려웠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핵은 상대방에게서 핵 공격을 당하는 것을 막고 억제한다. 국제사회에서 북한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는 것 외에 무력 사용을 주저하는 것도 북한이 핵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1945년 이후로 더 이상 핵 공격은 감행되지 않고 있다. 아니 왜? 핵이 없어서? 천만에 핵무기는 이제 세계에 넘쳐나고, 차르 봄바와 같이 리틀 보이와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강력한 핵탄두도 있다. 서방의 미국과 공산 진영의 러시아 모두 막강한 핵전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핵이 핵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핵 없는 세상은 실현되지 않을까? 와타나베 다카시(김남은 역)의 [슈퍼파워 미국의 핵전력]은 이런 바람을 바탕으로 핵 억지력의 실체 즉 미국의 핵전력을 심층 취재한 기록이다. 언뜻 보면 앞뒤가 안 맞는 것 같다. 핵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핵전력? 그러나 전쟁을 대비하고 평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항상 전쟁에 대비해야 하며, 적으로부터 핵 공격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핵 억지력이 있어야 한다. 푸틴이 우크라이나에 핵을 쏘지 못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 바로 교전국 우크라이나가 아닌 미국으로 대표되는 서방의 핵전력 때문이다.

이 전력은 핵전력의 3대축 ICBM, 전략폭격기, 핵잠수함을 시작으로 핵무기와 관련된 미국의 정책과 피폭자들을 함께 다룬다. 북한이 핵을 가진 후에도 계속해서 대륙간 탄도 미사일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이유가 어디에 있을까? 바로 괌 등 태평양의 미군 기지와 미국 본토에 대한 실질적인 공격력을 갖추기 위해서다. 미국과 같은 해외 기지와 전략폭격기, 핵잠수함을 가지지 못하고 앞으로도 갖출 능력이 없는 북한이 가질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방법이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서 북한이 만약 B-52와 같은 전략 폭격기를 가지고 있어도 무용지물인 이유를 다시 알게 되었다. 아니 왜? 북한은 이를 운용할 자금과 능력이 없다. 탈북자들의 증언을 들어보면 북한군 부대는 10년 이상 포사격 한번 못한 부대가 수두룩하다. 그런데 전략폭격기? 핵잠수함을?

핵이 핵을 억제한다? 이제 전차의 시대는 끝났다고 했다. 여러 현대전을 거치면서 앞으로 있을 전쟁은 항공력이 승부를 좌우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전쟁에서 소련의 항공 전력이 전혀 힘을 쓰지 못하고, 전차전이 계속되고 있다. 아니 왜? 우크라이나의 강력한 방공망에 소련의 전투기와 폭격기들이 전혀 힘을 쓰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이 핵을 포기할 수 없으며, 핵무기 없는 세상이 실현되기 힘든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저자 외에 역자도 후기에서 우크라이나전쟁에서, 이루어지는 러시아의 경제제재와 서방의 지원, 독일 등 유럽의 군비확장도 함께 다루고 있다. 전쟁을 억제하고 북한의 위협을 사전에 봉쇄하고 우리가 그동안 이룬 것들을 지키기 위해서 이런 핵전력과 억지력은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