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하기 전에 미리 알았더라면 - 은퇴 후 어떻게 경제적 자유를 얻을 것인가
이동신 지음 / 이코노믹북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대수명이 이제 83.5세라고 한다. OECD 기준으로 일본에 이어서 세계 2위다. 지금 기준으로도 은퇴 후에 20년 이상을 더 살 준비를 한다. 아마 20년 후에는 기대수명이 더욱 늘어나서 85~90세 근처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나라 은퇴 세대는 극심한 빈곤이 시달리고 있다. 그 수치는 무려 1/3에 달한다고 한다. 극심한 노령화와 수명 증가로 노후 준비 없이 은퇴한 것이다. 지금 20~40대들이 미리 은퇴를 준비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은퇴 후 노년층이 빈곤에 시달리고 있지만, 30~40대의 은퇴 붐은 이어지고 있다. 2019~2022년의 부동산 급등과 비트코인, 주식 열풍으로 부를 축적한 젊은 세대들이 파이어족 열풍과 맞물려서 인생을 즐기기 위해서 일찍 은퇴를 하는 것이다. 나도 정년까지 몇십 년이 남았지만, 계속 직장에 다녀야 하는지 의문이 든다. 이동신의 『퇴직하기 전에 미리 알았더라면』 이코노믹북스 출판은 이런 배경에서 읽기 시작했다. 

은퇴 후 주로 어떤 문제를 겪을까? 저자는 99%가 돈과 인간관계에 대한 고민이라고 한다. 어찌 보면 당연한 문제이며, 지금을 사는 우리 대부분 문제와 같지 않을까? 파이어족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경제적 자유이며, 직장 문제 대부분은 일보다는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 은퇴 후 경제적 자유를 위해서는 지금 기준으로도 최소 10억 원 이상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40대의 평균 자산은 3.3억에 불과하다. 즉 턱없이 부존한 것이다. 그렇기에 저자는 은퇴 후에도 돈이 되는 창업과 비즈니스는 물론 돈이 들어오는 파이프라인을 소개한다. 30~40대에 은퇴하고 세계 일주 중인 사람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대부분은 은퇴 후에도 일해야 한다. 

은퇴 후 연금과 리스크관리는 은퇴 후에 준비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은퇴 전에 준비해야 한다. 몇, 몇의 경제 전문가들은 취업과 동시에 이를 준비하라고 한다. 은퇴 후에는 어떤 인간관계를 구축해야 할까? 건강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방송을 보면 이제 80세가 아니라 90~100세를 생각하라고 한다. 지금 은퇴한 대부분도 80세만 생각하다가 그 이상 살고 있다고 한다. 건강은 건강할 때 관리해야 한다. 퇴직 후의 삶은 퇴직 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은퇴 전에 미리 준비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