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경영 - 4차 산업혁명과 파괴적 혁신 대우휴먼사이언스 22
홍대순 지음 / 아카넷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트경영처음 듣는 생소한 말이다기업의 경영과 예술의 아트도대체 이 어울릴 것 같지 않는 두 가지를 어떻게 연결시킨다는 말인가

 

1차 산업시대였던 과거 농경시대에는 힘이 좋은 사람이 유리한 사회였다힘이 좋아야 농사도 잘 짓고사냥도 잘 할 테니 말이다산업 혁명 이후 2차 산업 시대에는 인간의 노동을 기계가 대신하기 시작했다. 3차 산업을 지나 이제 4차 산업시대에는 무엇이 필요할까수 많은 기업과 가계들이 하루에도 여러 수백수천 곳이 생기지만 1년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업체의 비율이 70%라고 한다이제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고객에게 단순히 물건만 팔아서는 부족하다 고객에게 감동을 주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과거에는 개발된 제품이 기능적인 면에서만 만족을 주면 됐지만이제는 심미적경험적 차원을 넘어서 예술의 경지로 나아가야 한다기능이 좋다고 해서 지갑을 여는 시대는 지났다이제는 고객이 제품에 열광과 환호를 하고 팬이 되어야 하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

 

지금과 같은 시대에는 무에서 유를 창출하기 더 좋은 시대이다고객에게 감동을 주는 아이디어고객이 와우예술이다라고 외치게 하는 시스템은 단숨에 부를 창출할 수 있다몇 가지의 예를 들어 보자전 세계 수 십 개국에 체인을 갖고 있는 힐튼 호텔의 기업가치가 더 높을까아니면 전 세계에 단 하나의 호텔도 갖고 있지 못한 인터넷 기업 에어비앤비의 기업가치가 더 높을까답은 바로 에어비앤비이다놀랍다고그럼 우리 주변에서 자주 접하는 업체로 비교를 해보자수 십 년의 역사를 가진 신문사의 미래가 더 밝을까아니면 인터넷 포털 사이트 네이버의 미래가 더 밝을까전 세계 수 만개의 매장을 가진 월마트와 미국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기업 가치를 비교하면 어디가 더 높을까?

 

저자는 지금과 같은 정보의 시대정보과잉의 시대에 혁신은 복잡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매우 단순(심플)해야 한다고 한다어느 것이 필요한 정보인지 아니면 듣기 싫은 소음인지불필요한 신호인지를 쉽게 구분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그렇기에 복잡한 구조에서 핵심적인 것을 꿰뚫어 그 핵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본질에 충실하고 불필요한 것들은 과감히 제거해야 한다.

 

지금까지 수많은 기업들이 혁신을 시도해 왔다그러나 조직의 피로도만 높이고 혁신은커녕 후퇴하는 사례도 많았다이러한 위험성이 있더라도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기업이 원하든 원하지 않던 변화를 재촉한다. IMF 시절을 지나 온 우리들에게 잘 나가던 기업들이 하루아침에 문을 닫는 이제 익숙하지 않은가그들의 실패는 혁신의 필요성은 인지했으나 방향을 잘 못 잡았기 때문이다혁신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방향이다그 혁신의 방향의 찾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