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대로 괜찮을까 - 가장 나답게 만드는 6가지 질문
이도권 지음 / 무한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것은 나 자신을 향한다자신을 존중하지 않고사랑하지 않고 남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을까그렇지 않다내가 나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데 이 세상에서 누가 나를 사랑하겠는가이 세상의 내 눈에 비친 세상이며모든 사물은 내 눈과 마음을 거쳐서 바라보는 것들이다모든 것은 자신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저자는 어릴 적 지진아였다고 한다지금의 자신을 있게 해준 3명의 조력자들로 어머니, 2학년 때 학급친구담임선생님 3명을 들었다물론 이 3명의 조력자들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는 없다성공한 사람의 옆에는 항상 훌륭한 부모님이나 친구선생님이 있었다아이가 자라는 환경은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며비고츠키가 ZPD(근접발달지계)에서 말했듯이 학습에서 자기보다 조금 앞선 또래의 지원을 받는 경우 매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팔다리가 없는 지체부자유인 오토타케도 그의 저서 오체불만족에서 초등학교 1~4학년 때까지의 담임 선생님이셨던 다카키 선생님이 오늘날의 자신의 가치관에 큰 영향을 주신 분이라고 했다그러나 가장 큰 성공 요소는 바로 나 자신이다아무리 좋은 영양분이 주어지고 충분히 기후조건이 형성되더라도 식물이 씨앗이 병들어 있거나 죽어 있다면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러나 자신을 너무나 사랑해서는 안 된다자신을 사랑하되 어느 정도의 선은 지켜야 한다어떤 것이 그 기준이 될 수 있을까그 기준은 바로 양심(저자는 양심이라고 했으나 본인은 사회적 가치나 규범이 더 어울리는 단어로 생각 됨)이다우리는 보통 개인의 신분상승을 위해서 공부를 한다고 생각한다절대 그렇지 않다우리가 공부를 하는 이유는 신분상승이나 금전적인 이익에 역행하더라도 인간으로서 지켜야 할 것을 지키면서 살기 위해서다그리스 철학자와 루소칸트를 거치면서 우리에게 전파된 사상인간의 내적 권위가 바로 그것이다.

 

인간 세상이 시끄럽고인간들이 악행을 저지르는 이유도 바로 이런 것들이 아닐까부당한 방법으로 성공하고악행을 저질러 개인적인 성취를 이룬 사람들은 성공이 아니라 악행일 뿐이며자신은 성공이라고 생각하고 있을지 모르나 남들은 그것을 성공이라고 부르지 않는 다는 것을 알았으면 한다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이들의 악행이 아니라 사회적 가치와 규범을 지키면서 자신을 사랑하는 태도 일 것이다.  


[가장 나답게 만드는 6가지 질문 - 지금 이대로 괜찮을까] 이도권 저 무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