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치 아다다 - 계용묵 단편전집 1 한국문학을 권하다 34
계용묵 지음 / 애플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명한 작품이다. 실제로 영화에서도 상영이 되었다. 어려서부터 이 내용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굳이 줄거리를 아주 디테일하게 언급하지 않아도 될 거 같다. 이 작품은 지금 시대에도 먹히는 이유는 주인공이 돈 때문에 상처를 받았다는 점과, 그리고 주인공의 상대역이 돈에 미쳐 돌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마치 지금 시대를 반영하는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않았을까. , 시대를 앞선 작품이라고 본다.

 

사실 지금 2019년에는 자본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상황인데도 이해가 간다. 황금만능주의의 정점이고, 그 정점이 계속 될 거라는 시대인데, 이 생각은 과거에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보여줬다. 아다다의 마음은 이해가 간다. 돈을 벌었지만, 돈 때문에 상처를 받았고, 또 그럴 조짐을 보이자 마자 그런 돈 뭉치를 던져버리는 행위는 어찌보면 아다다의 입장에선 이해가 갔다. 하지만 적어도 상대방 얘기를 조금이라도 더 들어줬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도 같이 들었다.

 

그 외에 여러 작품을 봤는데, 카페라는 단어가 작품이라는 시대에도 있다는 점은 신기했다. 또한 작품 속에서 사투리가 단편 작품 속에 있다는 점은 그 시대엔 사투리가 지금에 비해 좀 더 활성화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금에 비해 시골을 좀 더 배경으로 한 건 일제 시대였지만, 산업 시대이긴 했지만 한국은 아직 덜 가졌다고 생각한다.

 

이 단편집을 다 담아서 책을 냈는데, 20대 초반에 쓰여진 작품도 있고, 30대에 쓰여진 작품, 그리고 40대에 쓰여진 작품이 있는데, 그런 면에서 연도별로 목차를 새겨놓았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슈퍼자기경영으로 인생을 송두리째 바꿨다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슈퍼자기경영
김재광 지음 / 청어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난 핵심은 6장이라고 생각한다. 6장은 미래를 빛나게 바꾸는 경영인데, 이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그 중에서 조금 놀라운 키워드를 적도록 하겠다.

싱귤러리티 대학 : 향후 미래에 관련된 기술을 얘기하는 대학이다. 통상적으로 몇 년 정도 앞선 기술을 언급하는데, 여기 설립자가 특이점의 저자이다. 난 저자가 이걸 언급을 할 거라고 생각을 했지만, 좀 더 디테일한 그 무언가를 살리지 못한 부분이 아쉽다. 이걸 많이 언급했더라면 어땠을까? 사실 그런 대학이 많이 필요하다. 또한 그런 대학에선 좀 더 큰기업이나 큰 기업이 더욱 지원해서 이런 스타일의 학교가 많이 필요하다. SPSS 나 그런 거 말고, 다른 것들이 많이 필요하다.


우주여행과 시간여행이 가능한 것 : 짧게 한 문단 정도 언급을 했지만 긍정적으로 언급한 점이 인상적이었다. 개인적으로 저자랑 같이 가면 이런 말을 해보고 싶네요. 이 책을 들고, 책 대로 되었네요라고 말이다. 언젠간 이런 사업이 크게 뜰 것이다. 시간 여향도 마찬가지다. 아주 과거부터 시작해서 아주 미래까지 가는 것이 언젠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야지 과학의 기술발전이 수직으로 발전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책을 덮으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과연 저자의 미래대로 이뤄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혹은 저자의 미래 그 이상으로 이뤄진다면 어떻게 될까? 다른 부분은 슈퍼자기경영에서 나온 부분이 많아 확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 부분 만큼은 굉장히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퍼자기경영 - 인생을 송두리째 바꾸는
김재광 지음 / 청어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공감가는 부분이 몇 군데 있다.

1: 자기경영은 과학이다. 이 부분은 MBA 다니면서 공감이 갔다. 인생경영이라는 단어가 내 마음을 사로잡았다. 왜냐하면 인생경영이라는 것이 앞으로도 중요할 것이고, 하나의 트렌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기업 경영이라는 측면도 나쁘지 않지만 기업 내 구성원의 인생도 언젠간 책임지는 날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책에는 없지만 아주 언젠간 퍼스널 파일 같은 게 나와서 그 파일로 인생 경영 상담하는 AI가 언젠간 나올 거 같다는 상상도 약간은 해봤다.

2: 꿈 관련. 어떤 꿈이 나오느냐가 중요하다고 본다. 그 꿈을 이루려면 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비전과 사명이 여기서 나오는데, 그 사명을 미션이라고 난 생각한다. 미션이 컴플레이트 되면 그게 이뤄지는 것이다. 꿈을 확실하게 설정한 다음에 실현하기 위한 로드맵이 필요하고, 그걸 향해 나아가야 하며, 그걸 빨리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빨리 실천하지 않는다면 아무래도 실천하지 못한 것은 물론이고, 아무래도 원하는 꿈도 이뤄지기 어렵다.

굉장히 편하게 읽었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내용과 사례가 거의 내가 알던 기업을 나열했고, 어떻게 가느냐 하는 편을 굉장히 자세하게 썼다고 생각한다. 덤으로 라이프 3.0 이상 시대가 올텐데, 그땐 로봇이 이런 역할을 대신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해봤다. 태어날때부터 죽을때까지. 혹은 영원의 삶을 살아가는 게 있다면 아무래도 AI를 바탕으로 자기 경영을 하지 않을까 생각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탈한 오늘
문지안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품절


휴식을 취하면서 읽기 딱 좋은 책이다. 공감가는 파트는 다음과 같다.

11일의 인사 : 개를 키우는 입장이다 보니, 공감간다. 잘 지내자. 개도 내 말을 알아들었을지 모르지만, 개를 4년째 (도중에 두 마리가 떠나고 두 마리가 새로 왔지만) 키우고 있지만, 정말로 잘 지내자고 하면서 쓰담쓰담한다. 저자도 그 심정이 공감간다.

 

기다림 : 과묵하게 기다려주는 무언가가 있고, 울면서 기다리는 경우가 있고, 웃으면서 맞이해주는 기다림이라는 것이 있다. 난 뭘 기다리면서 살아가야 할까? 누군가는 날 기다리면 어떻게 기다릴까라는 그런 모습들이 궁금하면서도 진짜 공감이 갔다. 뭉이처럼 날 기다려주는 사람이 있을 거 같기도 하고, 내가 뭉이일수도 있고.

 

개와 강아지 : 사진 속에 보면서 느끼는 게 큰 개와 그 강아지 두 마리랑 놀아주는 사진이 나름 공감이 갔다. 불독을 키우는 데 불독의 미래가 저렇게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가능성의 조각 : 어른 역시 많은 가능성의 존재들이 아닐까 싶다라는 이 문장이 맘에 들었다. 다시 말하자면, 저자는 어른도 가능성이 많다라고 언급이 되는데, 이 부분도 공감이 된다. 버려지는 사람, 버려지는 존재들도 늘 가능성이 있고, 결과는 항상 회복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조차도 생각된다.

 

너무 큰 뉴스들만 생각하는 내 자신이 일상을 돌아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돌이켜보면 내 자신이 너무 달린 부분도 있었고, 그러다보니 편안함과 여유라는 것을 놓칠때가 많았다. 이 책은 내가 볼 때엔 정말 쉼의 책이다. 그러면서 조금의 생각을 묻어두고, 여유를 찾아가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책이다. 잘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직장인의 시
문현기 지음 / 미디어샘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읽기가 편하다. 읽기 편한 이유는 여러가지이며, 다음과 같다.

1) 책이 얇다 : 무엇보다도 책이 얇다는 것은 읽기 편하다는 것이다. 130페이지 안쪽이다. 최근 잘나가는 책 중에서 이 책보다 얇은 책은 정말 보기 힘든 편이다. 게다가 그림까지 들어간 걸 감안하다면 사실 상 내용은 100페이지 안쪽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부담감 없이 읽었다고 생각한다.

2) 공감대 : 아마 2,30대 직장인이라면 굉장히 공감이 가는 책이다. 진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일들을 써놓은 책이다. 공감이 어려운 책이라면 개인적으로 읽기가 어렵다고 생각하고, 책장 하나하나 넘기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데, 이 책은 공감이 굉장히 가며, 읽기가 쉽다. 오죽하면 타이레놀이라는 시도 있고, 담배 피는 이유(한 개비 대화라는 시에 있다)도 공감이 가는 것만 널렸다.

3) 시와 매칭이 되는 그림들 : 그림들을 보면 시를 한번에 요약해 놓았다고 할 수 있다. 시가 이해가 안가면 그림만 보더라도 이해하기가 쉽다. 그래서인지 이 책을 굉장히 편하게 읽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시와 그림이 한 장에 다 있었을 때엔 정말 빨리 읽은 편이었다.

이 책을 마무리 하는 구절이 나는 계속 가고 있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이 공감이 된다. 모두가 계속 길을 가고 있다. 그 길의 끝이 어디인지는 몰라도, 그 길이 왠지 재미질거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리저리 뒹굴면서 말이다. 공감이 가는 부분과 얇은 책의 조화. 멋들어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