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17
주영하 지음 / 책세상 / 200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로운 시각과 유려한 서술, 그러나 정작 중국 음식 자체에 대해서는 불충분한 책.

이 책을 통해 새로 알게 된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자장면 혹은 짜장면은 분명 중국에 있는 음식이라는 것. (다소 장황하긴 하나 저자는  베이징 토박이들 사이에서만 드문드문 소비되는 베이징식 면 요리임을 자신이 발견했음을 강조한다.) 둘째, 중국의 요리는 한족만의 것이 아니라 많은 소수민족들이 사용하던 재료와 조리법을 받아들여 새로 만들어낸 것이라는 점.(한족의 독창적 문화가 전혀 아니라는, 신화깨기= 중국은 중원만으로 이뤄져 있지 않다는 일침)  셋째, 대장금에서 그렇게도 요란하게 나오던 만한(전)석이란, 실상 만주식 식사에서 한족식 식사로 입맛을 바꿔가던 청나라 황제들을 위해 만주식 요리와 한족식 요리를 한 상에 차려놓은 데서 유래했다는 사실. 한족 입장에서는 퓨전이요, 만주족 입장에서는 정체성의 상실이라고 하겠다.

저자는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중국 음식 문화 새로 알려주기'에 초점을 맞췄다. 그런 만큼 재미와 의미를 동시에 제공하지만, 그런 만큼 아쉬움도 준다. 목차만 제대로 봐도 한 눈에 알게 된다.

1장 중국, 중국인, 중국 음식/ 2장 중국인의 전통적인 음식소비/ 3장 개혁개방 이후 중국도시인의 음식 소비/ 맺는말 인류학자의 컨설턴트(?) 등등

재료부터 조리법까지, 요리의 종류부터 맛까지 다종다양한 중국음식에 관한 관심을 채우기 위해 이 책을 집어든 독자라면 상당히 실망할 것이다.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저술을 누군가 내놓으시길 기대한다. 중국을 대상으로 삼아 출간된 국내 저작물들을  '감히'  평한다면, 기자의 책과 연구자의 책이 큰 차이가 없는 듯하다. 이제  '엿보기', '바로보기', '훑어보기'를 넘어서야 할 때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침형 인간 - 인생을 두 배로 사는
사이쇼 히로시 지음, 최현숙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만약에,
세상의 모든 사람, 아니 최소한 50%가 아침 5시에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우선 출퇴근 시간이 앞당겨지겠지. 아침 6시30분쯤? 까탈스런 상사의 도끼눈이 지키고 있는 아침 조회도 물론 이 때부터 시작되겠지. 퇴근 시간은 원칙적으론 해지기 전이겠지만,일이 많은 사람은 지금이나 마찬가지로 막차에 몸을 싣고 쓰러지다시피 귀가하겠지.
내가 즐겨듣는 '손석희 시선집중'도 아침(?) 4시반쯤 시작할까? 너나 없이 다니는 외국어학원도 5시부터 시작할 테고, 출근전쟁도 그만큼 일찍 시작되겠지. 지금 누리는 새벽의 고요함은 적어도 5시 이전은 되어야 느낄 수 있겠지. 해뜨기 전에 일어나지 못하는 '베짱이'는 아침을 거른 채 허겁지겁 뛰어야겠지. 아마 그 때쯤이면 '새벽형 인간'을 가르치는 책이 베스트에 오를 지 모르겠다.

모든 일을 외로 꼬아보는, 고약한 심사라고 눈흘길 사람도 있겠지만, 요컨대 '남보다 앞서기 위한 경쟁' 무기로 아침형 생활을 생각한다면, 이미 틀렸다는 얘길 하고프다. 경쟁과 출세를 중심으로 생각한다면, 아침형 생활이 아니라, 그저 '남보다 일찍 움직이라'는 가르침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바로 이것이 지금 우리가 한심스럽고 고역스럽게 살고 있는 모습에 다름 아니다. 올빼미 체질이란, 적어도 직장인의 경우엔, 장시간 노동시간이 원흉이라고 해도 과하진 않다. 속도전쟁과 사생결단식의 우리네 고약한 삶이 바뀌지 않는 한 아침형이든 올빼미형이든 고달프긴 마찬가지다.

난 이 책을 느리게 살라는 지침서로만 읽고 싶다. 그래서 저자와 출판사에겐 다소 아니 꽤 불만이다. 왜 성공하고 출세한 사람들만 모델로 삼는지... 알려진 바로는 성공하고 출세한 사람들의 상당수가 '취침 기상 시간과 상관 없이' 정신적 스트레스, 불안에 시달린다. 어떤 사장님은 한 밤에도 벌떡벌떡 일어난다고 한다. 회사 망하는 꿈을 꾸었거나 낼모레 결제할 돈 생각이 불쑥 들었다거나, 말이다. 아침형 삶은 여유있는 삶, 창조적인 삶, 건강한 인생을 위해 추구되어야 한다. 저자와 출판사가 이 책을 쓰고 발간한 진짜 목적도 이것이었을까? 나는 그렇게 순진하게 믿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