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중그네 ㅣ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정신과 의사 이라부과 황당 간호사 마유미가 있는 신경정신과,
그의 환자로 등장하는 야쿠자와 야구선수, 곡예사와 젊은 의사,
유명 여성 작가가 펼치는 재미있는 인생드라마다.
다들 어느 날 문득 이상한 강박증이 나타난다.
뾰족한 물건만 보면 식은땀이나고, 잘 타던 그네에서 자꾸 떨어지고,
장인의 가발을 벗기고 싶은 충동에 미칠 것 같고,
공이 마음 먹은대로 날아가주지를 않는다.
결국 그들의 증상의 원인은 잘 하고 싶다거나, 자리를 빼앗기고 싶지 않다거나
출세를 하고 싶다거나, 지키고 싶은 우리네 심정과 다를 것이 없다.
이 자리를 지키고, 이 집을 지키고, 이 돈을 지키고, 이 수준을 지켜야 한다.
어떻게 이룬 것인데, 어떻게 여기까지 올라왔는데,
어떻게 만든 행복인데.......
하지만 움켜쥔 손을 풀지 않으면 절대로 병에서 손을 빼지 못하는 이솝 우화의 원숭이처럼
우리네 삶도 놓아버리지 않으면, 부리지 않으면, 털어버리지 않으면
그것이 병이 되고 짐이 된다.
아무 꺼리낌이 없고 무엇이든 어린아이처럼 신나게 즐기고
과감하게 도전하는 이라부에게서 환자들이 깨달음을 얻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일 것이다.
가지려 하지 않으면, 알탕골탕 속을 끓이지 않으면, 이 순간을 즐기고 만족하면
안 되는 일도 못 할 일도 없다는 깨달음.
소설 한 편에 인생의 진리가 담겼다.
더불어 기가 막히게 재밌다.
작가의 공력이 느껴진다.
다만 한 가지,
가슴이 계곡을 이룰만큼 산만하고
표범과 무언의 대화를 나누며
허연 허벅지 속살을 미니 스커트로 노출하고 다니는
묘령의 간호사는
개인의 자아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채 급속하게 진행된
일본의 산업화가 남성들의 "큰 가슴" 향수를 낳았다는
<일본 열광>의 주장에 다시금 동의하게 만든다.
남자들의 세계에서 남자들의 눈요기감밖에 될 수 없는 여성의 위치,
남성작가의 작품이 주는 그 미묘한 불쾌감이
옥에 티라면 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