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얼빈 (30만 부 기념 에디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8월
평점 :
최근 개봉한 현빈 주연의 영화 <하얼빈>과, 몇년전에 개봉한 안중근 의사의 전기를 담은 뮤지컬 영화 <영웅>까지 관람한 후, 같은 사건을 다룬 책 하얼빈도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실제 역사를 다룬 소설이라 그런지 소설속 많은 묘사들이 영화보다 생생한 상황으로 머릿속에 그려졌습니다.
어렵고 복잡하기 보단 간결하고 담백한 문장을 사용하여 안중근 의사의 이야기를 풀어낸 김훈 작가님의 <하얼빈>은 후손인 우리에게 마음의 울림을 주기에 충분한 작품이었습니다.
학창시절 역사를 배웠을때는 안중근 의사는 단순하게 그냥 애국심이 강해서 의거를 실행했다고만 생각을 했으나, 이번 작품을 읽으면서 김훈 작가님의 문체로 만난 안중근 의사는 나라를 진정으로 사랑했던 사람이었고, 동시에 동양의 평화가 이뤄지길 진심으로 바라는 사랑이 많은 사람이었다는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소망은 단순히 안중근 의사만의 것이 아니었으며, 이 땅에 사는 모든 민족의 꿈이었던 것을 알수가 있는데, 이 책 속에서는 사대부들이 국권을 넘기고 왕권도 무너지고 말았지만, 민초들과 의병들은 그들의 왕이 무릎을 꿇었을지 언정, 결코 쓰러지지 않았고 백성들은 일어서고 또 일어섰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모습에 그 악랄한 이토 히로부미 조차도 두려움을 느꼈다고 표현되어있습니다.
희망이 보이지 않는 암흑 시대에 온몸으로 길을 내며 나아간 백성들과 안중근 의사에 대한 묘사가 직접적이라서 몰입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책의 또 다른 백미는 바로 소설이 감당하지 못할 일들을 부록처럼 후기로 남긴 것입니다.
안중근 의사 거사 이후 그의 직계가족과 문중의 인물들이 겪어야 했던 박해와 시련과 굴욕, 그리고 유랑과 이산과 사별에 관한 실제 이야기를 소설이라기 보단 사실적이게 역사서처럼 담았습니다.
또 후기에는 안중근 의사가 일으킨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어져간 그 비극을 후일담 형식으로 담담하게 서술하고 있는데, 일반 소설들과는 다르게 또 다른 울림을 주기도 합니다.
김훈 작가님의 <하얼빈>은 안중근 의사가 실탄 일곱 발과 돈 백 루블을 지니고 하얼빈으로 향하던 그 순간을 직접 옆에서 보고 있는 체험을 하는 듯한, 그것을 후손으로서 조금이나마 마음으로 느낄 수 있었던, 그 하나만으로도 그저 충분했던 소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