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우천왕기 세트 - 전6권
이우혁 지음 / 엘릭시르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다리던 <치우천왕기> 드디어 완결판을 만나네요. 완전 기대됩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치우천왕기 세트 - 전6권
이우혁 지음 / 엘릭시르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우천왕기>
 
"나는 나중에 성인식을 하면 이름을 천이라 지을 거야. 치우천! 높으면서도 땅에 닿아 있는 저 하늘 말야.
아우야. 너는 이름을 비라고 지어, 치우비. 날아다닌다는 뜻이래. 내가 하늘이 될 테니 너는 그 하늘에서 훨훨 날려무나. 마음껏 말야."
 
드디어 이우혁 작가님의 <치우천왕기>가 완결되었다.
치우천왕이란 이름은 붉은악마를 통해 익히 알고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치우와 황제의 전쟁은 중국 건국 신화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중국의 한족()이 스스로를 ‘염제와 황제의 자손()’이라고 표현하듯이 황제와 염제의 부족이 연맹을 이루어 치우가 이끌던 구려()의 부족연맹을 격퇴시킨 과정은 중국의 고대 국가 성립 과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우선, 1권 첫 페이지를 펼치면 만나게되는 작가의 말을 통해, <치우천왕기> 집필 과정을 엿 볼 수 있었다.
중국 현지 답사와 방대한 자료를 모아  오랜 준비기간을 거쳐 탄생한 작품이라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희네와 나래. 용감하고 지혜로운 두 형제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지혜롭고 똑똑한 희네와 형의 다리가 되어주는 듬직한 나래.
성인식을 통해 치우천과 치우비라는 이름을 받게된다. 두 형제에게 앞으로 펼쳐질 어마어마한 일들은 그들에겐 운명 그 자체가 되었다.
수많은 전쟁과 음모, 역경을 이기면서 얻게되는 이치와 깨달음 그리고 사람들...
치열한 인생의 모든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삼국지>를 읽어보았다면, <치우천왕기> 또한 놓치지 말자.
 
한국형 판타지의 길을 열어준 <치우천왕기>는 펼치는 순간! 치우천왕의 마력에 빠져들고 만다.
지금도 '전쟁의 신, 병기의 신' 이라 불리우는 치우천왕은 이우혁 작가의 상상력과 역사를 바탕으로 탄생되었기에 생생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한국형 영웅신화 완결판!
모두 놓치지 마시길... ^^ 


 
 
********** 이우혁 작가님 동아닷컴 기사*********************************
 
93년 PC통신에 심심풀이로 소설을 올렸던 에어백 연구원 이우혁(45)은 이제 ‘퇴마록’으로 1000만부, ‘왜란종결자’로 100만 부(출판사 통계)를 넘긴 대형 작가가 됐다.

28일, 이우혁의 3번째 완결작 ‘치우천왕기’가 발간됐다. 1권이 나온지 무려 8년만이다. 서울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만난 작가의 얼굴은 밝았다.“목에 걸린 가시를 뺀 것처럼 후련합니다. 잊지 않고 내면 된다, 그 생각만 했어요. 그간 독자들에게 너무 미안했습니다.”
 
새로 발간된 ‘치우천왕기’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매 장 앞에 넣은 ‘시작 주(註)다. 1/3은 작가의 창작이고, 나머지는 동양 고전에서 발췌했다. 이우혁은 이를 쓰기 위해 전국시대의 공자 맹자 순자부터 육도삼략, 손자병법, 당(唐)시와 사기(史記), 산해경, 삼국유사 등을 원문으로 살폈다.
“단순히 한문을 우리말로 옮긴 게 아니라 4-4조라던지 7-5조라던지, 노랫가락을 살리고 댓구도 맞추려고 노력했어요. 내용도 ‘동양 고전에 든 삶의 지침’으로 내도 될 정도로 공들였죠.”
제대로 기록된 역사가 없는 시대를 그려내는 것은 어렵다. 매년 TV사극들이 방영될 때마다 ‘역사 왜곡’ 논란이 벌어진다. 이우혁은 “그 시대의 선을 긋는 게 가장 힘들다”고 털어놓았다.

이우혁은 ‘퇴마록’에서 ‘에스키모, 인디언, 마야의 선조는 고조선’, ‘4대 문명 중 하나인 수메르는 고조선의 제후국’ 등의 내용을 소개한 바 있다. ‘치우천왕기’에서는 대제국 고조선을 노래하는 작품이다. 때문에 국수주의나 쇼비니즘이라고 비난받는 일이 많았다.

“댄 브라운이 ‘다빈치 코드’ 썼다고 카톨릭 부정하는 사람은 아니잖아요? ‘치우천왕기’는 ‘규원사화’를 일부 참고하고, 대부분 상상입니다. ‘한단고기’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어요. 고조선 후손 이야기는 중국 학자 왕대유의 ‘용봉문화설’이라는 이론을 소설가로서 차용한 거구요. 그 사람 저서 한국어판 머리말에는 '그들이 동이족이고 당신들의 조상이며, 중국인이다'라고 되어 있어요. 이 뉘앙스가 정말 중요한 건데… 내가 조사한 자료들도 차후에 공개할 거예요. ”

이우혁은 올해 그간 쌓아뒀던 이야기들을 줄줄이 방출할 예정이다. ‘치우천왕기’의 뒤를 이어 ‘퇴마록 개정판’, ‘퇴마록 외전’, ‘푸가토리움’, ‘융세록’ 등이 준비 중이다.


기사전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10428/3676489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리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권미선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비로운 브리다! 역시, 파울로 코엘료! 후회없는 선택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딩으로 리드하라 - 세상을 지배하는 0.1퍼센트의 인문고전 독서법
이지성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렵게만 느꼈던 인문고전을 향해 문을 두드린 계기가 된 책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교
박범신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는 주저하면서 다가오고 현재는 화살처럼 날아가고 과거는 영원히 정지되어 있다

노인은 그냥 자연일 뿐이다. 젊은 너희가 가진 아름다움이 자연이듯이.
너희의 젊음이 너희의 노력에 의하여 얻어진 것이 아닌 것처럼. p.250 

                  

‘사랑에는 나이가 없다’라고 설파한 것은 명저 『팡세』를 남긴 파스칼이고,
사랑을 가리켜 ‘분별력 없는 광기’라고 한 것은 셰익스피어다.
사랑은 사회적 그릇이나 시간의 눈금 안에 갇히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가.
그것은 본래 미친 감정이다. 당신들의 그것도 알고 보면 미친, 변태적인 운명을 타고났다고 말하고 싶지만, 뭐 상관없다. 
  

당신들의 사랑은 당신들의 것일 뿐이니까.' p.12
 

2003년_ 대학교의 첫발을 내딛었을 때, 나는 진정한 어른이 되었다고 자신했다.
'전설의 고3' 고난과 역경을 견뎌냈으니 말이다. 부푼 기대와 한껏 들뜬 첫 수업, 첫 강의 교수님께서 <죽어도 좋아>라는 영화를 보고 감상평을 내라는 과제를 주셨다.

그 당시, 영화를 보고 받게 된 충격은 어떠한 말로 표현 할 수 없었다. 죽음의 꽃이라고 불리는 검버섯이 온 몸에 피어난 ‘노인네들’ 에게 ‘사랑’이 존재한다는 게 있을 수 있는 일인가. 죽음을 앞둔 그들이 품은 욕망은, 육체적이든 정신적이든 인격을 ‘욕되게’ 하는 ‘변태적 취향’이라고 생각했다. 두 노인의 사랑은 아름답기는커녕, 역겨웠고 추악해 보였다.

작품을 이해하지 못한 채로 써내려간 감상평은 감독을 성장애자로 만들었고, 제도와 관념 유교사상을 운운하며 포악스러운 비판을 했던 기억이 난다.

7년이 지난 깊은 밤, 나는 일흔의 이적요 시인과 열일곱의 한은교, 그리고 서른일곱의 서지우를 만났다. 관능적인 이야기이다.
빠져나올 수 없을 만큼 외롭고 사랑이라 부를 수 있는 깊은 소용돌이 속 고독으로 빨려 들어간 느낌이다.
 

'눈이 내리고, 그러고 또 바람이 부는가. 소나무 숲그늘이 성에가 낀 창유리를 더듬고 있다. 관능적이다. 'p.13

고요하고 쓸쓸한 인생을 살아온 이적요 시인의 삶에 작은 돌풍을 일으킨 창槍을 품은 소녀, 한은교.

사랑하고 존경하는 이적요 선생님과 함께라면, 어떤 일이든 감사하다고 생각하는 우직한 서지우에게 깊고 날카로운 욕망을 심어준 소녀, 한은교.

“할아부지와 선생님, 서로가 너무 많이 사랑했다는 거예요. 절 사랑한 게 아니에요.
두 분하고 함께 있을 때마다 버림받은 기분은 제가 가져야 했다구요. 진짜로요. 끼어들 틈도 없었는걸요.” 라고 말하는 은교.

일흔 살 노인에게 열일곱 소녀는 존재 자체만으로 세상에 부러울 게 없는 빛이었다.
서른일곱 서지우에게 열일곱 소녀는 가지고 싶은 욕망이자 뺏길 수 없는 '그만의 것'이어야했다.
시인에게 유일한 ‘내 새끼’였던 ‘서지우’는 주차장에서 은교를 탐하던 그 때부터 경계와 질투심의 대상이 되었다. 불신과 노여움이 몰아친 노인의 마음 속 불씨는 활활 타올라 불안과 경계로 가득 찼다. 서로를 너무나 사랑한 이적요 시인과 서지우 그리고 은교. 깊어만 가는 그들의 이야기가 깊은 밤_ 나를 잠 못 이루게 한다.

은교를 향한 광적인 집착과 욕망,

사실 자신이 원하는 문학적 욕구를 분출하지 못하는 허망한 남자 서지우와 고요하고 적막한 남자 이적요가 서로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갈망으로 일어난 일이라고 아닐까.

서지우의 젊음과 이적요 시인의 문학적 천재성,
가질 수 없고 되돌릴 수 없는 것이기에 그들의 탐욕은 소녀, ‘은교’를 통해 적나라하게
그리고 관능적으로 분출되었다.

7년 전, 내가 이 소설을 만났더라면 ‘롤리타’를 지향하는 한국 남성들의 변태적 성의식을 비판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 은교를 만난 나는, 그들이 열렬히 그립고 또 눈물겹다.

그것은 분명 <사랑>이다. 햇살처럼 고요하게 다가오든, 탐스러운 욕망으로 다가오든, 그 모든 것은 사랑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