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프로젝트 수업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수업 방식으로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스스로 선택하고 능동적인 자세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과제 선정, 진행, 발표 준비 등 발표 전 과정에 있어 학생이 스스로 선택하고 과업을 수행함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이 책 《수업도 여행처럼! 프로젝트 수업 왕초보를 위한 PBL 프로젝트 수업 재미있게 하기》는 학생과 선생님을 위한 책입니다.
처음 프로젝트 수업을 하려고 하면 굉장히 어렵게 느껴집니다. 계획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프로젝트 수업을 계획한다면 프로젝트 수업을 해야 하는 이유를 찾아야 합니다. 이유가 있다면 방법도 정할 수 있습니다.
중심 교과를 정하고 성취 기준을 분석하고 활동 브레인스토밍을 시작합니다.
핵심 활동 및 루틴을 정하고 한 장에 정리해 마중그림을 만듭니다. 그것을 중심으로 시각화 자료를 만듭니다.
이렇게 프로젝트 수업 계획서가 완성되면 프로젝트 수업의 흐름이 한눈에 보이게 됩니다.
프로젝트 수업은 1주 이상 진행되는 장기가느이 학습이므로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습의 상황에 따라 꾸준히 운영되지 못하거나 학생들의 몰입도가 깨지게 되면 프로젝트 수업을 끝까지 수행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프로젝트 수업을 할 떄 가장 중요한 것은 일단 시도해 본다는 것입니다. 선생님도 프로젝트 운영 능력이 길러져야 합니다.
처음 시행하는 프로젝트 수업은 완벽하게 계획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지만 모두 교사의 계획대로 되지는 않습니다.
시각화 자료를 만들어서 프로젝트 수업을 하는 기간 동안 교실에 게시해 둘 자료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프로젝트 수업을 하면 수많은 활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많은 양의 학습지, 활동 자료, 학습 결과물들이 쏟아지게 됩니다.
이를 어떻게 정리할지를 사전에 생각해 두고 확실하게 정해 두어야 합니다. 학습 결과물을 정기적으로 확인도 합니다.
프로젝트 수업의 매 차시를 마칠 때마다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피드백을 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런 과정들을 반복하면서 프로젝트 수업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