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학교자율시간은 2022년 교육과정에서 체계화되었고 교사가 교육의 최전선에서 학생들이 미래의 핵심 인재로 키울 수 있게 역량을 계발하는 시간입니다.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지식의 단순 암기가 아니라 스스로 질문하고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소통하는 장이 되어야 합니다.
이 책 《스토리텔링 디지털 AI 학교자율시간》에서는 학교자율시간이 무엇이며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알아봅니다.
학교자율시간은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의 교육 공동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역과 학교의 여건에 부합하는 맞춤형 학습을 설계하는 교육과정입니다.
학교자율시간은 교과 외에 새로운 과목이나 활동으로 개설할 수 있습니다. 학교자율시간의 취지를 살린 과목과 활동에 대한 권한은 학교에 있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학교자율시간도 교과별 2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편성 운영할 수 있습니다.
학교자율시간의 운영을 위해 노벨 엔지니어링 수업 모델을 추천합니다. 노벨 엔지니어링은 책을 읽고 책 속 주인공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상상합니다.
이는 융합 수업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노벨 엔지니어링 수업은 깊이 있는 학습이 가능합니다.
교과 지식을 단순히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과의 기저에 있는 핵심 개념과 원리를 내면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삶과 연계한 유의미한 학습이 가능합니다. 노벨 엔지니어링은 책을 단순히 수업의 동기 유발 도구로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바꾸어 씁니다.
이야기를 바꾸어 쓰는 마무리 단계까지 확장시킬 수 있는데 전해동화 활용 프로젝트를 연극으로 변형하기도 합니다.
학교자율시간의 흐름과 노벨 엔지니어링 수업 단계가 부합합니다. 책 읽기와 문제 인식 단계에서 주제 관련 이론을 탐구하고 문제로 인식하는 과정을 제공합니다.
《스토리텔링 디지털 AI 학교자율시간》에는 학교자율시간이 정확하게 어떤 개념인지 그 개념을 확실하게 정의하고 알려줍니다.
그리고 노벨 엔지니어링으로 구성하고 활동할 수 있는 몇 가지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알려줍니다.
학교자율시간에 관심 있는 교사와 학교에서는 《스토리텔링 디지털 AI 학교자율시간》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