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빛이 우리를 비추면
사라 피어스 지음, 이경아 옮김 / 밝은세상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태로 고립되어버린 호텔, 르 소메.


동생 아이작의 약혼 파티 초대에 응한 엘린은 

남자친구와 함께 미니버스 한 대가 겨우 통과할 정도로 좁은 길을 지나, 

알프스의 르 소메 호텔에 오게 된다. 

이곳이 복수를 위한 끔찍한 무대가 될 것이라곤 생각지도 못한 채.


------------


그 날에 갇혀버린 진실.

그리고 연이어 벌어지는 살인.


어쩌다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눈사태로 고립되어버린 호텔.

사라진 동생의 여자친구 로라.

풀에서 발견되는 호텔 직원의 사체.

무언가를 감추는 것 같은 호텔 대표와 지배인.

그리고 이곳에 있는 유일한 경찰 엘린.


이곳에 오게 된 목적은 따로 있었다.

동생 아이작에게 그날의 진실을 물어보기 위해서.


자꾸만 회피하는 동생에게, 

자신의 기억 속에 또렷히 새겨진 끔찍한 기억에,

당사자인 아이작만이 말해줄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렇지 않으면 그 날의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 같았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 날의 진실을 듣기도 전에

일이 터지고 말았다.


동생의 여자친구이자 호텔의 부지배인 로라가 사라졌다.

약혼을 앞두고 심경의 변화가 있었나 싶었지만,

소지품을 하나도 챙기지 않고 사라진 건 뭔가 이상하다.


휴직 중이지만, 강력계 형사인 엘린의 촉은

이 사건을 해결해야 된다고 말하고,

호텔 직원이 연이어 실종되며 사건은 걷잡을 수 없이 나아가는데...


고립된 호텔에서 일어나는 사건들.

하나씩 발견되는 과거와의 연결점.


범인은 대체 누구일까.

엘린은 범인의 정체를 밝혀낼 수 있을까?

--------------------


무더위를 앗아가게 만드는

섬뜩한 사건의 무대


해발 2,200미터에 위치한 호텔.

하나 밖에 없는 길은 눈사태로 막혔고,

기상 악화에 헬기마저 뜰 수 없다.


소개 문구처럼 '복수를 위한 최적의 조건'이 갖춰졌다.

그러니 사건이 일어나는 건 당연지사.


하지만 이곳엔 엘린이 있었다.

장기 휴직 중이지만, 그럼에도 강력계 형사인 엘린이.


주인공 엘린과 함께

범인을 유추해나가는 재미가 있다.


실종된 누군가가 사실은 범인이 아닐까?

고립된 이들 중에 분명 범인이 있을 거야.

범인의 목적은 요양원이었던 과거와 연결될 거야.


엘린이 과거의 흔적을 찾아낼 때마다

범행의 이유는 요양원과 관련되어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추리가 계속되고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게 되면

뜨악! 하며 생각지도 못했던 반전을 마주하게 된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엘린은 불안한 심리 상태로

추리가 조금씩 어긋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집중할 때는 경찰로서의 모습을 보이며 사건을 뒤쫓는다.


뛰어난 두뇌로 종횡무진하는 명탐정을 그려낸 것보다

그런 모습이 더 현실적으로 보여서 좋았다.


후반부에 드러나는 범인의 고백은

왜 이런 일을 벌인 건지가 이해되기도 했고,

731부대를 연상하게 만드는

끔찍한 사진을 발견했을땐 소름이 돋았다.


엘린과 아이작이 샘에 대해 얘기하는 부분에선

그 감정을 왠지 알 것 같아서 슬프기도 했다.

끝없이 따라붙는 죄책감이란 이런 게 아닐까 싶기도.


'유리 빛이 우리는 비추면'


단순히 고립된 무대에서 벌어지는 사건만이 아니라

그 안에 끔찍한 과거와 주인공의 트라우마까지 담아내어

읽는 재미를 더하는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붕어빵이 되고 싶어
리러하 지음 / 한끼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순히 무언가를 빠진 채로 구워진 붕어빵이 아닌, 일찍 열어서 좋아하는 것도 싫어하는 것도 없다는 게 붕어빵으로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걸 담은 것 같아서 더 재미있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붕어빵이 되고 싶어
리러하 지음 / 한끼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플갱어가 나타났다!

합체를 제안하며.


딸의 소꿉친구 금태가 담장을 넘어 27미터 아래로 떨어졌다!

깜짝 놀라 구급차를 부른 주연은 자신이 일하는 병원에 금태를 입원시키고

그 아이의 집에 소식을 알리러 가지만, 이게 웬일?!

금태가 멀쩡히 집에 있다.


뭐지?

그러면 병원에 입원한 건 누구지?


주연이 금태를 다른 사람으로 착각할 리가 없다.

당혹스런 주연의 앞에 붕어빵을 만들 때 빠뜨린 판단력을 지닌 

'신형' 금태라 말하는 소년이 병원에 입원한 '구형' 금태를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하며,

합체해야 된다고 말하는데.....


합체는 과연 금태에게 좋은 일인걸까?


시나, 선진, 장극까지

자신과 닮은 도플갱어를 만나게 되고,

주연은 금태의 제안을 보류한 채

동네에 일어난 사건(?)의 진실을 찾아 나선다.

--------------------


황당하지만, 그럴 수도 있겠는데? 싶은

재밌는 이야기 !


붕어빵을 먹을 때 느끼는

달콤함, 바삭함, 촉촉함.


구울 때 떨어져나가는

부스러기나 반죽.

혹은 살짝 덜 구워진 느낌의 붕어빵.


이 모든 걸 가지고 이야기를 만들어낸다면

이런 작품이 나오지 않을까 싶은

신박하면서도 재밌는 이야기다.


한때 유행이었던

신이 당신을 만들 때, 엉뚱함과 애교와 유머를 넣고

'어이쿠 걱정을 쏟았네!' 라며

여러가지로 즐기던 이미지가 생각나기도 한다.

(실제로 작품 속에서도 주연이 이를 언급한다)


판단력의 금태,

결단력의 시나,

용기의 장극,

일찍 열어버린 틀의 선진.


단순히 무언가를 빠진 채로 구워진 붕어빵이 아닌,

일찍 열어서 좋아하는 것도 싫어하는 것도 없다는 게

붕어빵으로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걸 담은 것 같아서

더 재미있게 느껴졌다.


소설이 아닌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무언가 부족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사람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며 그 부분을

타인의 영향으로 채워나가는 게 아닌가 싶다.


그렇기에 우리는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고

'같이' 살아가야 한다고 말하는 게 아닐까.


나를 닮은 이를 만난다는 다소 뻔한 도플갱어라는 설정 속에

붕어빵을 넣으며 신박한 이야기가 태어났고,

그 속에 각자의 사연을 녹여내어 몰입하게 만드는,

그러면서 '나'의 과거와 현재는 어땠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그런 작품이었다.


재미있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유기 - 블랙레이블 시리즈 블랙레이블 시리즈
프리키 / 책보요여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 문제에 대해 어떤 방법이 옳은가에 대해 고민하게 만들면서, 절대로 오지 말아야 할 미래의 이야기를 들려준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유기 - 블랙레이블 시리즈 블랙레이블 시리즈
프리키 / 책보요여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 않은 미래의 중요 정책


"당신의 원치 않는 아기를 국가에서 모집합니다!"


낙태죄 폐지 이후 불법적으로 행해지는 유기와 살해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아기를 모집하기에 이르렀다. 

이름하여 '영유아 모집 시설(BSF)'. 


3세가 넘기 전, 키울 자신도 여력도 없다고 판단될 시, 

주민센터에 모집 신청 후, BSF에 아기를 데리고 가면 부모로서의 

고민, 고충, 갈등을 정부가 다 정리해주는 곳.

 

미혼모인주인공은 첫번째 남자친구의 아이인 K를 이곳에 보낸 뒤, 

두 번째 남자친구와의 사이에서 생긴 아이를 품에 안은 채 후회와 슬픔에 빠져드는데.... 과거의 기억까지 끊임없이 따라붙는 울음소리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


절대 오지 않았으면 하는

미래의 이야기


짧은 이야기 안에

생각할 것들을 가득 담고 있다.


낙태죄 폐지 이후 생겨난 사회 문제들.

영아 유기, 학대, 살해 등의 잔혹한 범죄가

뉴스를 통해 나오고, 관련 법안이 발의되지만

'완벽한' 해결 방안이란 건 있을 수가 없어서

또 다른 문제가 계속해서 생겨난다.


그런 상황에, 정부가, 아기를 모집한다면?

심지어 그 어떤 책임도 묻지 않는다면?


처음엔 주저하다가도, 우후죽순 신청하는 이가 늘어날 테고

그 중에는 후회와 슬픔에 빠진 부모도 생겨날 것이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과거의 기억과 도망친 전 남친 A의 기억으로 인하여

A의 아이인 K를 시설에 보내기로 결정을 내리지만,

이 결정은 그녀를 끝이 보이지 않는 후회의 구멍으로 빠지게 만들었다.


미래에 이런 정책이 만들어진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생명을 대상으로 '소멸'을 말하는 정책에

대다수가 반대의 목소리를 내겠지만,

원치 않는 아이라 생각하거나, 책임질 생각이 없는 이들은

암암리에 소멸을 선택하게 될 지도 모른다.


유기의 마지막을 장식한 장면은

어쩌면 아이를 '유기'한 이들의 최후가 아닐까?


아이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 문제에 대해

어떤 방법이 옳은가에 대해 고민하게 만드면서,

절대로 오지 말아야 할

미래의 이야기를 들려준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