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를 읽으며 생각했다.‘어른들은, 우리도 그땐 그랬다 하겠지만,아이들은, 우린 그때가 아니라 지금을 살고 있는 거라 할 거다.그 목소리가 현실을 바꾸지 못한다 해도, 세상에 가닿지 못한다해도, 그 몸짓이 자기를 바꿀 것이고 목소리가 자기 내면에 가닿을 거다. 성장은 그렇게 이루어지는 거다.’봄 기운이 물씬 나는 이야기다.
카일라스, 성스러운 순례자의 마음으로 책을 잡았는데 읽는 내내 안개 짙은 슬픔 속을 떠도는 기분이었습니다.슬픔에 겨운 사람들이 읽어야 할 책이겠구나 싶었습니다.슬픔이란 것은 밑도 끝도 없고타인을 위한 슬픔이란 것은 애초부터 없으니,슬픈 이의 언어로, 슬픈 이의 감성만으로 써 내려가고 구성되는 것이겠구나.왜냐고 묻거나 어쩌라는 거냐고 묻는 것이 어리석겠구나, 하며 읽었습니다.그런데 그 슬픔의 연대도 있는지, 단지 자기의 슬픔을 드러내었는데,타인을 위로하기도 하는구나, 찌르르했습니다.“그래, 바람을 타고 저 카일라스 위로 올라가렴. 그동안 살아온 날이 가벼우니 가볍게 바람 타고 올라갈 수 있겠구나. 나는 이제 너 없이 살아가는 것에 익숙해져야 하고,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나는 이제 네가 없는 것을 슬퍼하지 않을게. 그래도 너는 복이 많구나. 이곳 카일라스에서 바람이 되다니. 안녕.”카일라스 북벽에서 회향하는 저자의 마음을 따라 글 읽는 나도 맑아졌습니다.덕분에 카일라스를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