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
루츠 판 다이크 지음, 안인희 옮김, 데니스 도에 타마클로에 그림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리뷰를 보니까, 겉핥기식으로 대략적인 사건만 나열했다는 점에서 점수를 적게 준 사람이 많았다.

나는 반대였다. 아프리카의 현대사를 이렇게 간략하면서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준 책이 없었다.

처음 아프리카에 가게되었을 때, 교보문고를 뒤져서 아프리카에 관한 역사책을 찾았다. 

거기서 고르고 골라 낸 책이 영국 옥스포드대 교수로 아프리카 역사의 최고권위자라는 '롤랜드 올리버'가 쓴 '아프리카 - 500만년의 역사와 문화'였다. 대학1학년 교양수업 교재 정도 되는 책이었다.

그 책은 한마디로 꽝이었다. 아프리카 역사를 원시부터 현대까지 대략적으로 훑으면서 신중하고 진중하게 정리해놓긴 했는데, 전체적으로 유럽인들의 아프리카 정복을 정당화하고 그 결과로 빚어진 비극적인 현실에 대해선 애써 거리를 두려는 태도가 강하게 느껴졌다.

영국인이 아니라, 아프리카인 스스로 아프리카의 역사를 자신들의 입장에서 정리한 책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면서 아쉽게 책장을 덮었다.

몇해 지나 이 책을 발견했을 때, 이 책 역시 네덜란드계 독일인이 쓴 책이란 점이 약간 거리꼈지만,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에이즈 피해 어린이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는 점과 독일의 청소년들을 위한 교양서적으로 집필했다는 점이 맘에 들어 사서 읽었다.

결론적으로 말해 그 전에 읽은 옥스포드대 교수의 책이 전혀 충족시켜주지 못했던 부분을 이 책이 완벽하게 채워주었다.


저자 역시 유럽인이긴 하지만 가능한 아프리카인의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고 있고, 특히나 근현대에 들어와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들을 아프리카인들의 독립과 건국 투쟁의 과정으로 풀어주고 있다.


혹시나 아프리카의 역사가 궁금하고 아프리카를 여행하려는 계획을 갖고 관련된 책을 찾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길 강력하게 추천하고 싶다.


꼭 아프리카와 관련이 있는 사람만 읽어야할 책도 아니다. 이 책의 띠지에 적힌 말대로, 아프리카의 역사를 이해하게 되면 인간이 무엇이냐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 아프리카는 인류의 발생지이면서 지금도 원시부터 최첨단 문명까지 공존하는 인류역사의 살아있는 전시장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애초 저자가 '청소년을 위한 아프리카 역사'로 책을 기획했기 때문에 내용이 무척 쉽게 서술돼 있다. 쏙쏙 들어온다. 졸면서 겨우 읽은 옥스포드대 교수의 책과는 비교할 바가 못된다. 게다가 내용까지 더 알차고 올바르니 얼마나 좋은가. 책값도 더 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