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인트 (반양장) - 제12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89
이희영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학년 큰 아이에게 사줬더니 하룻만에 다 읽고는 '엄마도 읽어봐' 하며 툭 던진다.


그런 얘길 해본적 없는 아이라서 그런지 아내도 책을 폈는데 하룻만에 읽더니 '당신도 읽어봐요'라며 건넨다.


나도 하룻만에 읽었다.


이런걸 근미래SF라고 하나?


책의 골자는 책광고에 나온대로 아이들이 부모를 선택하는 설정이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대놓고 생각하게하는 도발적인 구도라서 그런지, 작가의 글쏨씨가 좋아서 그런지 술술 잘 읽힌다. 후반부에서 줄줄줄 교훈이 쏟아져나오긴 하지만 반전과 함께 어우러져 재미를 해칠 정도는 아니고, 오히려 직접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니까 한 가족이 같이 독후감을 나눠볼만하다.


스포일러는 아니고, 책의 설정 중에 재미있는 것이 '헬퍼'라는 가사도우미 로봇의 존재였다.


집안의 온갖 잡심부름을 다 해주는 헬퍼를 집집마다 구비해둔다는 설정인데, 자식에게는 밥상 차려주고 청소해주고 옷 챙겨주는 부모 역할을 하는 셈이고, 부모에게는 자녀들에게 기대하는 규범있고 말 잘 듣는 아이들 역할을 해주는 셈이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서로의 필요를 요구하는 관계라면 그건 가사도우미 로봇과 다를바가 뭐가 있는가? 라는 질문을 작가가 던진다.


더 나아가 자녀세대의 역할이 착실하게 커서 꿈을 이뤄주고 열심히 일해서 부모세대가 연금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면, 부모세대의 역할이 자녀가 사회에 나갈 수 있게 뒷바라지해주고 배경이 되어주는 것이라면, 그건 굳이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아니어도 되지 않는가?


책도 재미있지만 책에 나온 NC라고 하는 제도와 사회상을 곰곰이 씹어보면 재밌는 질문이 자꾸 나온다.

"그럼, 우린 진짜 친구가 되는 거야. 부모보다 훨씬 가까운!"

"부모들에게서 좋은 면만 찾지 마. 너도 좋은 면만 보여주려고 하지 말고. 그러지 않으면 그게 너와 그분들 모두를 힘들게 할 테니까."

"우리가 꼭 부모가 되어야 할까? 그냥 친구가 되면 안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