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녀굴 - 영화 [퇴마 : 무녀굴] 원작 소설 ㅣ 밀리언셀러 클럽 - 한국편 17
신진오 지음 / 황금가지 / 2010년 8월
평점 :
대부분의 공포소설은 사회의 어두운면이나 귀신이 등장하는 초자연적인면, 러브크래프트 같은 미지의 존재가 나타나는 면 같은 것이 많아 보였다.
설화를 주제로 전개되는 무녀굴은 제주도의 김녕사굴 설화와 전통신앙의 분위기가 표지그림에서 부터 많이 느껴졌다.
국내는 물론이고 각 나라마다 고유의 설화가 있을 것이고 그 중에는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띄는 설화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설화를 주제로해서 나온 작품은 기껐해야 설화 모음집 정도의 수준 밖에 되지 않는다. 그래서 무녀굴은 설화에서도 많은 소재를 찾을 수 있고 전통 설화에 관심을 가지게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김녕사굴에서 시작된 저주는 뱀처럼 냉혹하고 잔인했다. 우리에게는 약간의 이국 느낌을 주는 제주도가 신비로운 곳으로 여겨질 만큼 작중의 나오는 제주도의 모습은 익숙하면서 낯선 분위기를 주었다.
제주도에서부터 뿜어져 나온 저주는 엑소시스트를 연상시키는 초자연적 공포 분위기에 다가 퇴마적 분위기를 만들었다. 초반의 저주에 관한 실체가 스물스물 기어나오다가 중반에 가서 갑자기 팍터져 나왔을 때 그 느낌은 현실의 논리로는 허용이 안 되는 검은 그림자의 돌풍이 모든 것을 쓸어버리는 것 같았다.
여기서 나오는 퇴마사
진영은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서 세상을 조율하고 있는 조율사처럼 느껴졌다. 현실이면 현실, 비현실이면 비현실에 맞게 나오는 진영의 모습에서
어딘지 모르게 히어로물에서 나오는 영웅의 기질이 느껴졌다. 그리고 퇴마사라는 캐릭터는 바로 이런 느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말에 다다라서는 마치
영화 클라이막스에서 사건의 모든 것이 절정에 이르러서 악의 승리냐, 아니면 정의의 승리냐를 가를 결정적인 순간이 시간을 멈추게 만든 것처럼
숨막히게 했다. 설화를 바탕으로 이런 현대적 퇴마 내용을 만들어낸 것이 정말 대단하다고 느낀 부분이었다.
이렇게 김녕사굴 설화로
거대한 내용을 만든 것을 보면 앞으로 설화라는 요소가 무궁무진한 잠재적 소재로 쓰일 가능성이 느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