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폐월; 초선전
박서련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7월
평점 :
어린 시절 삼국지를 읽었을 때 남자들만 드글드글하던 작품 속 초선의 존재는 눈에 띄었다. 초선의 역할과 이야기에 끼친 영향, 비극적인 말로는 초선에 대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내가 본 삼국지에서 초선은 모든 일이 끝난 이후 자살하는데 어린 마음에 왜 그런 선택을 한 건지 이해하지 못했었다. 어디 그냥 도망가서 살면 되지, 생각하며 초선의 죽음에 한참 안타까워 했던 기억이 난다.
그렇게 갑자기 등장했다 갑자기 퇴장한 초선. 박서련은 그런 초선에게 새로운 서사를 부여한다. 초선의 어린 시절부터 삼국지에 언급됐던 시기, 그 이후까지 한번도 생각해 본 적 없던 초선의 삶을 따라가며 한 인간이자 여성으로서의 초선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초선의 삶은 말 그대로 생존을 위한 투쟁의 연속이다. 기근에 시달리다 못해 자신의 부모인지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들에 의해 이웃집 아이와 바꿔지는 상황에서 도망치고, 거지떼들에게 구출된 이후 황건적의 난에 휩쓸린 그녀는 기지를 발휘해 왕윤에게 또 다시 구해진다. 이후 왕윤의 양녀로서 호의호식하면서도 아버지와 헤어질까봐 두려워 하던 그녀 앞에 거지이던 시절을 아는 사람들이 나타난다. 위기를 무사히 넘긴 그녀는 그토록 숨기던 진실을 왕윤에게 밝히고 사랑을 고백하지만 양녀에서 가기가 된다. 그 이후의 이야기는 우리가 아는 삼국지의 이야기. 한 가지 다른 점은 초선은 그 모든 일을 겪고도 살아남아 역사를 제 눈으로 똑똑히 바라본다는 점이다.
살아남는 것 자체가 시련이었던 초선은 선과 악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필요하다면 거짓말도 그럴 듯하게 하고 남을 해치기 위한 계책도 세워서 자기 자신을 지킨다. 게다가 욕망 앞에도 솔직하다. 그녀는 자신을 구해준 양부 왕윤에 대한 사랑을 숨기지 않는다.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일이지만 그녀는 당당하다. 하지만 이 사랑도 생존에 대한 그녀의 질긴 욕구 앞에서는 스러진다.
한때 왕윤의 초선관을 돌보고 싶어했던 그녀는 세상이 그녀에게 부과했던 모든 것을 벗어던지고 산자락에서 초(매미), 선(담비)와 함께 산다. 그토록 아름답던 외모도 잃었지만 그녀는 아랑곳 하지 않는다. 그 외모에 딸려온 다른 이들의 욕망을 그녀는 원한 적 없었기에, 차라리 볼품없는 외모로 자유로운 지금이 그녀에게는 더 낫다. 그 누구에게도 휘둘리지 않고 온전히 그녀의 힘으로 생을 일구는 결말이 그녀가 이어온 삶과의 싸움에 대한 승리와 같아 뭉클하기까지 했다.
난세의 한복판에서 대의를 세우겠다는 명분으로 이용당한 그녀. 누군가를 제물삼아 이루는 대의는 대의라고 할 수 있을까. 결국 그 대의를 쫓던 수많은 사람들은 죽고 그녀는 살아남았다. 살아남은 것이 이상하다는 초선의 물음 앞에서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 되새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