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의 시대 - 기록, 살인, 그리고 포르투갈 제국
에드워드 윌슨-리 지음, 김수진 옮김 / 까치 / 2024년 7월
평점 :
대발견시대라고도 불리는 대항해시대는 15~17세기 포르투갈과 스페인을 시작으로 영국, 네덜란드 등 유럽 각국이 아메리카와 인도, 중국 항로를 개척하던 시기를 말한다. 이를 계기로 동서양이 본격적으로 연결되기 시작했고, 종국에는 유럽의 식민지 건설과 제국주의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세계사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그런데 대항해시대라는 말 자체가 유럽 중심의 시각에서 나온 단어다. 이전에도 동서양간의 교류가 아예 없었던 것도 아니고, 이미 중동과 동남아, 동아시아간의 물자 교역과 사람의 이동은 활발했다. 하지만 대항해시대라고 하면 보통은 유럽이 일방적으로 동양을 발견했다는 인상을 준다. 실제 그 당시 동서양간의 만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리고 현대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물의 시대는 대항해시대의 시작을 연 포르투갈과 두 남자에 초점을 두고 이 시기를 파헤친다. 의문스러운 죽음을 맞이한 다미앙과 대항해시대에 걸맞게 인도와 동남아, 동아시아를 다녀온 남자 카몽이스. 저자는 이 두 사람의 경험이 교차로 서술하면서 당시 유럽과 아시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세밀하게 묘사한다.
신항로 개척은 유럽과 아프리카, 그리고 아프리카 넘어 아시아까지 하나로 연결했고, 다양한 물자와 정보가 유럽으로 몰리게 되었다. 정작 아시아 내에서는 이미 교역이 활발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아시아에 도달한 포르투갈인들은 당혹감을 느꼈지만 곧 그들만의 교활한 방식으로 아시아에 침투하기 시작했다. 저자의 설명 중 가장 흥미로웠던 내용은 그들이 이교도의 문화를 받아들이는 방식이었다. 기독교적 방식으로 아시아의 문화를 이해하던 포르투갈인들이 동서양의 사상간 균열을 발견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방식은 두 가지였다. 각자의 다름을 인정하거나, 아니면 배척하거나. 각각의 방식을 상징하는 인물이 다미앙과 카몽이스이다.
다미앙은 현재의 관점에서 봐도 코스모폴리탄적 사고를 지닌 사람이었다. 종교적 광풍이 불어오던 시기, 자칫하면 이단으로 몰릴 수 있는데도 그는 아프리카, 북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들어오는 신문물에 대해 포용적인 태도를 취했다. 하지만 그런 그에게 돌아온 것은 결국 종교법정과 미스터리한 죽음이었다.
반면 카몽이스는 직접 아프리카 너머의 세상에 가서 새로운 세계를 보았지만 결국에는 유럽 중심적 사고를 버리지 못했다. 그의 행적이 자세하게 남아 있지 않아 카몽이스가 아시아에서 지내는 동안 어떤 생각을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최소한의 그의 작품에는 유럽이 세계의 주인이라는 인식이 진하게 묻어난다.
다미앙은 잊혀지고 카몽이스는 지금까지도 포르투갈의 유명 시인으로 그 이름이 내려오는 것과 같이 승리자는 카몽이스였다. 이미 당시 프로테스탄트의 발흥 등 내부적으로도 어지러웠던 유럽은 근본적으로 유럽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일 능력도, 의지도 없었고, 결국 동서양은 경제적으로는 단단히 결합하면서도 사상적으로는 대립하게 되었다.
저자는 이러한 현상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전세계가 하나로 연결되어 세계화라는 단어가 식상해진 지금까지도 우리는 서로를 모른다. 마치 다미앙이 일했던 톰부 탑의 기록보관소와 같이 양식이 맞지 않는 제각각의 서류처럼 존재할 뿐이다. 하지만 여전히 다미앙의 유산이 몽테뉴에게로, 라무시오에게로 이어져 내려오고, 현대사에도 흔적을 남긴 것처럼 서로에 대한 몰이해도 극복할 수 있다. 저자의 말처럼 서류 한 장 한 장을 한 권의 책으로 묶고, 그 책을 우리 모두가 함께 읽을 수 있을 때 진정한 대항해의 시대가 열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