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 지팡이 너머의 세계 - 톰 펠턴 에세이
톰 펠턴 지음, 심연희 옮김 / 문학수첩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해리 포터 시리즈를 처음 만난 때는 작중 해리 포터가 호그와트에 입학할 나이였다. 그래서인지 내게 해리 포터 시리즈는 마치 같은 시간대를 공유하는 또래 친구의 모험담을 읽는 느낌이었고, 마법세계가 정말로 존재한다는 생각마저 들게 했다. 전세계적으로 해리 포터 열풍이 불었으니 아마 나만 그런 생각은 하진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당연히 해리 포터 시리즈가 실사영화로 만들어 진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엄청나게 흥분했다. 그 환상적인 마법사 세계를 직접 볼 수 있다니! 거기에 하나 둘 배우들이 캐스팅되면서 그 기대감은 점점 커져갔다. 어디서 저렇게 책 속에서 튀어나온 듯한 사람들을 찾아왔는지 신기할 정도였다.


 그 중에는 드레이코 말포이도 있었다. 백금발에 창백한 얼굴을 하고서는 트레이드 마크와 같은 썩소를 짓고 있는 모습을 보니 그렇게 얄미울 수가 없었다. 실제 영화에서도 얼마나 밉상이던지 한 대 쥐어박고 싶을 정도였다. 드레이코 배역을 맡았던 톰 펠턴도 왠지 드레이코와 비슷한 성격이 아닐까 하는 어린애다운 생각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마법 지팡이 너머의 세계'를 통해 만난 톰 펠턴은 그 누구보다도 해리 포터와 같은 용기와 솔직함을 가진 사람이다. 그가 이렇게 매력있는 사람인지 몰랐기 때문에, 이 책을 읽는 동안 톰 펠턴이라는 사람에 대해 알아갈 수 있어서 즐거웠다.


 톰 펠턴은 해리 포터 시리즈를 촬영하기 전에도 연기 경력이 있긴 했지만, 그래도 해리 포터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가 그의 경력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다. 그는 해리 포터 촬영 당시에 있었던 일을 솔직하게 밝히는데, 책을 읽다보면 해리 포터 시리즈에 열광하던 어린 시절로 돌아간 것 같아 슬그머니 웃음이 나온다. 당시 촬영장의 분위기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는 점음 덤.


 동시에 그가 아역배우로서의 삶과 평범한 십대로서의 삶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찾아갔는지, 해리 포터 시리즈를 찍으면서 어떻게 성장해 나갔는지를 보는 것도 흥미롭다. 사춘기 시절에 얻은 명성이 오히려 괴롭힘의 빌미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부담되기도 했을텐데 가족과 주변의 좋은 사람들의 도움과 그 자신이 지닌 내면의 단단함으로 현명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며 과연 내가 저 입장이었으면 저렇게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랬던 그가 해리 포터 시리즈를 끝내고 할리우드에 진출한 뒤 방황했다는 사실에 적잖게 놀랐다. 그는 유명배우라는 상황에서도 평범함이라는 일상의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고 그 둘 사이의 균형점을 찾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일순간 그 균형이 무너져 버린 것이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번아웃 증후군, 기분장애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아주 특이한 일은 아니지만, 앞서 그가 해리 포터 촬영장에서 보여줬던 재기발랄한 모습과 대비되어 더욱 안타까웠다.


 하지만 그는 타고난 천성으로 이를 극복하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온다. 이 에세이는 그가 자신을 치유하는 과정에 나온 산물이기도 하다. 어쩌면 이 책의 제목인 '마법 지팡이 너머의 세계'의 의미는 드레이코 말포이라는 캐릭터 뒤에 숨겨진 그의 진짜 삶, 그가 겪은 고통과 이를 이겨낸 과정이 아닐까 싶다.


 그는 '사람들은 나를 보고 다른 시간과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다(161p)'라고 말한다. 이게 바로 사람들이 책을 보거나 영화를 읽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아니, 적어도 내가 이 책을 읽은 이유는 그렇다. 이 책을 통해 나는 해리 포터 시리즈와 함께 했던 내 청소년기를 떠올렸고, 해리 포터 시리즈 이후 톰 펠턴이 겪은 아픔을 보면서 나 스스로도 겪었던 힘들었던 시간을 되새기며 그에게 공감할 수 있었다. 그는 이 책을 자신을 이 자리에 있게 해준 머글들에게 바친다고 했지만, 이 책을 통해 나같은 머글들도 일상을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그건 정말 마법과도 같은 일일 것이다. 



이 게시물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