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애하는 슐츠 씨 - 오래된 편견을 넘어선 사람들
박상현 지음 / 어크로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씩 편견인지도 모르고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들이 있다. 어릴 때 크레파스나 색연필에는 '살색'이라는 색깔이 있었다. 그때는 어리기도 했고 그게 진짜 살색이라고 생각해서 아무 생각 없이 받아들였는데, 좀 더 자란 어느날 그게 차별적 용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인종마다, 사람마다 살색이 다른데 특정 색깔을 살색으로 정한다는 것 자체가 누군가에게는 일종의 폭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점점 사회가 발전하는지 차별이나 편견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지고, 용기 있는 사람들이 나서서 이를 고쳐나가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에 대해 지나친 검열이라고 느끼며 피로감을 호소하기도 하고, 극단적인 공격성을 드러내는 사람들도 있다.


 지금보다 차별과 편견이 만연했던 과거에는 이를 깨부순다는 것이 지금보다 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여성 참정권 운동, 흑인민권운동 등을 펼치다 목숨을 잃은 사람만 해도 여럿 머리를 스치고 지나간다. 그럼에도 자신이 옳은 길이라고 믿으며 꿋꿋하게 나아간 사람들이 있어서 지금의 우리가 좀 더 편견없는 세상을 살고 있지 않을까.


 친애하는 슐츠씨는 아주 오래된 습관같이 자리한 차별과 편견과 이에 맞서 싸운 사람들에 대한 책이다. 크게 2부로 나누어져 있는데 1부는 사소해 보이는 일상 속에 숨겨져 있는 차별부터 인종이나 젠더에 대한 거대담론회된 차별에 대해, 2부는 이러한 차별에 순응하지 않고 이를 극복해낸 사람들에 대해 다룬다.


 가제본 서평단을 통해 1부와 2부의 내용 일부를 읽어볼 수 있었다. 1부에서는 여성 옷의 주머니에 담긴 차별과 편견의 역사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과거 고정된 성 역할에서 비롯된 의복의 차이가 현대의 의복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하다못해 실용적이어야 하는 군복에서조차 여군에게는 주머니가 없었다고 하니, 왜 이렇게까지 여성들에게 주머니가 허용되지 않았는지 납득이 되지 않을 지경이다. 나 스스로도 주머니가 작거나 없는 옷이 불편하다고 생각하고, 옷을 살 때 크게 고려하는 부분이었기 때문에 더욱 공감이 가는 내용이었다.


 저자는 인류의 오래된 습관을 끊고 편견을 바꾸는 일은 일상에서 이를 맞닥뜨린 사람들의 개인적 깨달음과 결단에서 시작된다고 믿는다. 이 책의 제목에도 등장하는 찰스 슐츠가 바로 그런 인물이다. 2부에서는 찰스 슐츠에 대한 2가지 이야기를 접할 수 있었는데, 피너츠의 작가라고만 알고 있던 슐츠에 대해 새로운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슐츠는 피너츠에 나오는 페퍼민트 패티 등 여자아이들은 스포츠에 열정적으로 즐긴다. 지금은 전혀 이상할 게 없지만 피너츠가 연재되던 당시에 여자아이들이 운동을 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어색한 일이었다. 보스턴 마라톤에 여성이 뛸 수 없다는 점이 성문화할 필요조차 없는 관습법이었던 것처럼. 많은 여성들이 이러한 편견을 깨기 위해 목소리를 내었고, 슐츠가 피너츠를 통해 여자아이들도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을 자연스럽게 주지시키면서 이제는 여자아이들이 스포츠를 하는 게 당연한 일이 되었다.


 또 하나, 피너츠에 등장하는 흑인 소년. 이 부분에서는 흑인 부모와 슐츠가 주고받은 편지가 인상적이었다. 특히 흑인 캐릭터를 등장시켜 달라는 편지에 대한 슐츠의 답장 중 '저는 해결책을 모르겠습니다'라는 말이 와닿았다. 당시에 그가 겪었을 딜레마가 절절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지금에도 콘텐츠에서 화이트워싱 등 인종에 대한 이슈가 불거지는데 1960년대에는 더 조심스럽지 않았을까. 그럼에도 슐츠는 프랭클린 암스트롱이라는 흑인 소년을 피너츠에 등장시키고, 또 그 캐릭터가 희화화되어 단순히 소모되지 않도록 굉장히 조심스럽게 다룬다. 그의 섬세함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이다.


 여기까지 읽고 나니 왜 이 책 제목이 '친애하는 슐츠씨'인지 알 수 있었다. 물론 이 책에서는 차별과 편견에 맞서 싸운 수많은 친애하는 '슐츠씨'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을 것이다. 가제본으로만 봐도 이렇게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은데 실제 정식 출판본에는 얼마나 많은 이야기들이 담겨 있을지 기대가 된다. 차별이 차별인지도 알지 못하는 세상에서 많은 사람들이 읽어봤으면 좋겠다.



이 게시물은 출판사로부터 도서 가제본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