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무진한 떨림, 무궁무진한 포옹 - 2017 제17회 미당문학상 수상작품집
박상순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제17회 미당문학상 수상작품집 '무궁무진한 떨림, 무궁무진한 포옹'은 박상순 작가의 수상작을 표제작으로 작가외 9명의 수상후보작의 작품을 모은 작품집이다.

 

미당문학상은 ' 미당(未堂) 서정주(徐廷柱)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01년 6월 중앙일보사(주)에서 제정한 문학상'으로  20세기 한국의 현대문학을 대표하고, 민족정신과 정서를 가장 세련된 우리말로 표현한 서정주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소설 부문의 황순원문학상(黃順元文學賞)과 함께 제정된 시문학상(네이버 발췌)이라고 한다.

 

고등학교때 줄줄이 외워서 수능을 보던 시를 떠나 대학교때 교양국어시간에 의미를 생각하던 시이외에 시를 읽지 않던 세월동안 아니 교과서에 실리지 않는 시들은 그동안 어떻게 변화해 왔을까?

 

2017년 한 해 동안 발표된 시들중 정수라 생각한 것들을 모은 시집이라고 생각하니 한 편 한 편 신경이 쓰였다. 물론 소설을 좋아했던 나에게 이름을 들어본 작가도 없었기에 더 편하게 시를 읽었다.

출퇴근길에 잠깐 식사하고 남는 시간에 한 편 한 편 읽다 중간에서부터 읽다. 펼쳐지는 곳에서 부터 읽어나가다 보니 시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 나아졌다.

 

시를 배울때 운율을 따져야 하고 뭘 맞춰야 하고 이제 그런건 상관없어 보이지만 여전히 작가가 내는 수수께끼 같은 시들을 한 편 한 편 읽으면서 시인들이 정말 다양한 주제와 방식으로 시를 쓰는 것을 보고 재미있다는 생각은 가질 수 있었다.

 

수상작 '무궁무진한 떨림. 무궁무진한 포옹' 은 사랑을 시작하는 연인의 이야기 처럼 시작한 무궁무진이라는 말로 온갖 떨리고 기대하는 마음을 가지다가 어처구니 없는 일들과 변고들로 남자가 죽고 여자의 존재에 대해 시의 저자는 물음을 날리고 있다. 처음 읽을때 어쩌라는 건가 싶어 자꾸만 읽게되는 시였다.  결국 맨 마지막 페이지의 해설까지 읽다보니 조금 고개가 끄덕여 진다. 하지만 시란 작가가 낸 수수께끼이고 독자들이 알아서 해야 하는 것이니 나는 모든 사랑이 이루어지지않아도 시로 남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박상순 작가의 다른 작품들도 재미있다. 왕십리 올뎃 은 그것이 사람인지 인물을 이야기 하는지 어렵지만 왕십리를 잘 아는 사람으로 눈에 선하게 보이는 시여서 재미있었다.

 

그해 겨울, 그래도 왕십리는 왕십리.

 

이 부분이 그냥 좋았다. 왕십리는 언제나 바뀌어도 왕십리라는 걸까...

 

 


 

출퇴근길에 한 두 편 읽으면서 생각하다 보면 금새 도착해서 출퇴근 메이트로 꽤 좋았다

 

 

 

수상 후보작 중에서도 읽다보면 흥미로운게 많았는데.

 

꽃과 낭독회 에서
~ 고백 투 소설의 한 구절, '젊은은 끝나지 않을 것처럼 지겹고 길었다'는 부분에서 꽃을 건덴 여성이 끝내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거기서 눈물을 보고 있던 게 아니라, 눈물을 머리까지 밀어올린 어떤 용기와 애정에 대해서 생각했다. ~

 

라는 부분이 신경이 쓰였다. 눈물을 밀어올리다라... 시라는 것은 이렇게나 새로운 표현이 많구나. 싶고 재미있는 것이구나 싶었다.

 

작가들은 어떤 사건에서 정치에서 다양한 곳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었다. 어쩌면 시집 하나를 읽었을 뿐인데 뒤죽박죽 순서도 작가에 대해서 아는것도 없지만 요즘 사람들이 사는 모습이 사는 삶이 느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인들이 우리네 삶을 대변한다는 이야기를 항상 배웠지만 항상 예전에 지어진 시를 보면서 그렇구나 했던게 이번 시집을 보면서 제일 와닿았던 것 같다. 아마 시 해설에서도 나왔듯이 작가들의 나이가 젊어졌다고 하지만 내가 나이들어가면서 시를 쓴 작가들과 같은 나이대가 되어가면서 그들과 같은 것들을 보고 느끼고 있어서가 아닐까 생각된다.

 

시라는 것을 읽은지 정말 몇 십년이 지났지만 이렇게 읽어보니 머리가 깨지는 듯한 느낌이 들어 다른 시집도 한 번 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본 포스팅은 '다산 북클럽 나나흰 7기'로 활동하면서 해당 도서를 무상으로 지원받아 직접 읽어본 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