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남 오빠에게 - 페미니즘 소설 다산책방 테마소설
조남주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7개의 단편소설로 구성된 페미니즘 단편소설집 현남오빠에게 라는 책은

 보는 내내 자꾸만 이 책을 추천해 줄 사람들이 떠오르는 책 이었다.


연령대도 성별도 모두 다른 몇몇 아니

 내 주변 사람들은 다 읽어봤음 좋겠다는 생각이 자꾸만 드는 그런 책이었다.

 

페미니즘이란 단어는 대학교때 여성학을 듣는 친구들에게

처음 들었던 이후로 알 수록 내 자신이 살아온 것이

무언가 잘 못 된게 아닌가 생각을 들게하는 게 많았다.


지금도 정확한 페미니즘을 설명하라면 유장하게는 할 수 없기에

 계속 배우고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더욱 더 내가 더 잘 알아야 하고 더 생각해야 할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강남역살인사건, 한샘사건등 이런 사건들이 일어나고

그에 대한 남녀의 시각이 다른 것을 볼때

요즘 살아가면서 세상의 반이 여자인데 그 반의 삶이 나머지 반에 의해

억압받고 가려지고 불평등하게 대해지고 있다는게 점점 보이는 것이 정말로 안타깝고 어렵다.


그리고 더 안타까운건 불평등과 억압을 받고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과

그런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나도 이 책을 읽으면서 어설프게 불편하지만 명확하지 못했던 것들이 보이기도 하고

고민되기 시작하는 것들이 있었다.

 

7편의 소설은 다양한 소재와 시점 장르(?) 보는 내내

어떻게 끝이 날지 알 수 없어서 굉장히 신선하고 즐거웠다.


짧은 단편이라 빨리 읽을 수 있었지만 내용도 흥미진진해서

 책장을 빨리 넘어갈때도 있고 너무 답답하고 속상해서

책장을 넘기는 쉽지 않은 내용들도 있었다.

 

 


7편의 책들에 대한 감상을 살짝 적자면

 

표제소설인 조남주 작가의 현남오빠에게는 읽는 내내 밑줄 빡빡 긋다가는 모든 문장에 줄을 그어버릴 것 만 같았고 친구에게 보여주고싶은 문장들을 사진을 찍다보니 계속 찍고 있어서 그냥 친구에게 읽으라고 하거나 한 권 사줘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 읽다말고 카톡으로 표지한장 찍어서 이거 꼭 읽으라고 강추를 하다가 우리들이 만나거나 겪었던 현남이 같은 남자들 성토대회가 열려버렸다. 주인공이 편지를 써내려가는 현남이라는 사람은 정말 (한숨부터 쉰다) 살아가면서 어디선가 만나 나던 친구던 친구의 친구이던가에게 강렬한 나쁜 기억을 만들어주었던 그런 사람의 표본같은 이였다. 아 있지 있어 이런사람, 동기의 남친이었고 내 친구였고, 같이 일을 했던 사람 등등 읽는 내내 답답하고 여자의 감정에 동감했다 답답해 했다가 결국 잘헤어졌네 잘헤어졌어를 외치지만 씁슬해지는 이런걸 더 어릴때 알았다면 어땠을거란 만약에 라는 상상을 끝없이 하게 만드는 소설이었다. 그래서 읽고나니 좋기도 하고 속상하기도 한 소설이었다. 그리고 가장 재미있게 본 한 편 이었다.

 

 

최은영 작가의 당신의 평화 에서는 모든 딸들이 느낄 불편함이 가득했다. 나도 딸이기에 엄마의 삶에 동조하고 동감하고 딸들은 엄마의 삶을 동정하고 동감하는 순간부터 불행해진다는 이야기를 본 적 있는데 주인공이 그랬고, 나도 가끔은 그런 생각을 한다. 그리고 그 가부장제라는 것에 짓눌린 정순도 그런 엄마에게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자신이 후회할 것을 알면서 자신을 위해 멀어지려는 유진에게도 슬퍼졌다. 똫나 선영이라는 여자의 불편함도 느꼈으며 준호와 아버지에게도 분노가 느껴졌다. 특히 마지막에 과거 아버지 생일에 대한 회상에선 눈물이 핑 돌았다. 정말 그 어떤 화목한 가족들에게도 아픈 부분이 있겠지만 유진의 가족을 보면서 많은 딸들 물론 나도 슬펐고 아팠다. 특히 유진의 선택이 가장 아팠다.

 

 

김이설 작가의 경년도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 잘못을 알면서 바꾸지 못하는 것과 나만...아니면 하는 마음 아들과 남편을 이해하지못하면서 그걸 바꾸지는 못하는 속물적 마음 그렇게 유지되는 세상이런 모든것이 다 담겨있었다. 모두를 이해할 수 없는건 아니었지만 정말 읽으면서 속이 매슥해지는 이야기였다. 죄책감이 죄여오는 느낌이랄까. 페미니즘 소설이지만 인간의 간악함도 많이 느껴지고 이기적인 면이 유연하게 전체에 흘러나와서 슬펐다.

 

 

최정화 작가의 모든 것을 제자리에는 읽는 내내 좀 ?? 이런 느낌으로 읽었지만 다 읽고나니 생각이 많아지는 이야기였다. 또한 소소하게 주인공이 겪는 일들에서 공감이 많이 들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작가의 노트에서의 글이 더 많이 생각했다. 이렇게 책을 읽고 페미니즘을 알게되면서 내가 뜻하지 않게 내 안에서 여성혐오적인 발언을 하진 않았을까? 이것에 몰입해 남성혐오를 하진 않을까 하는 생각을 말이다.

 

 

손보미 작가의 이방인은 뭔가 달랐다. 느와르 소설? 이런것을 잘 읽어보지도 않았고 뭔가 위화감을 느낀것에서 작가의 말을 읽고 보니 그동안 남자들이 써온 이런 비슷한 류의 책만 읽어온 나에게 여자가 주인공이며 남자가 보조인 그런 구조가 낯설게 느껴졌음을 느꼈다. 그랬다 여태까지 이 소설들을 읽으면서 다 여자가 주인공인 소설은 아마 거의 읽은 일이 없구나 싶었다. 그나마 최근들어 외국 환타지 소설에서나 여자가 주인공인 소설들을 좀 읽었지 아니면 여자가 주인공 같아도 결국은 남자가 중심이기도 했던 소설도 많았다. 그리고 이 것이 단편이라서 그다음 이 궁금해 지기 까지 했다.

 

 

구병모 작가의  하르피아이와 축제의 밤 도 참 좋았다. 중반까지는 무슨 얘기인가 싶다가 읽는내내 진짜 이런 일이 있었으면 하는 못된 생각마져 들었다. 속으로 이런 일을 벌인 단체들은 아마 그 일들을 당한 여자들 혹은 그녀들의 가족들이겠지. 역사속에서 많은 여자들이 여자라는 이유로 죽어왔었다. 그것을 반대의 입장에서 당한 주인공은 과연 어땠을까...  범죄자를 묵인해준 사람도 결국은 범죄자일까? 수 많은 생각들을 하게 해주고 찜찜함과 쾌감이 함께하는 소설이었다

 

 

마지막 소설인 김성중 작가의 화성의 아이는 SF 분위기의 페미니즘 소설이었다. 인간의 잔인함에 대해서 아이를 낳는것에 대한 남자와 여자의 차이, 생과 삶, 미래, 임산부를 화성에 보내놓고는 고민이 많았지만 추운결말은 아니라고 작가는 말했지만 그래도 결국은 잔인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가 아니라 인간이 나만 아니면 또한 인간만 아니면 된다는 그런 생각이 들었기에 이게 인간인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면 내가 부정적이던가...

 

 

마지막 발문까지 생각할 거리가 가득했던 책이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스스로 당당하게 패미니스트라고 하기에

너무나 부족하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렇게 소설을 읽고, 다른 관련 책을 읽고

고민하게 되었다는 것이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

 


예전엔 그냥 넘겼던 일들을 잘 못 된 것을 알고

바꾸려고 하고 한 마디라고 더 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는건 알기 때문인게 아닐까?

그리고 내가 그래도 나아지고 있는게 아닐까 생각으로

위안을 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말이다.

 


요즘들어 내가 느끼기에 세상이 여자들에게 더 팍팍해지고 있는건지

이런 사실을 알고나니 안 보이던 것이 보여서 더 살벌한 세상으로 보이는건지 모르겠지만

그냥 몰라서 해맑고 싶지는 않다. 현남오빠에게의 주인공처럼 나중에 후회하고 싶지 않다.


정말 더 많은 사람들이 소설로, 운동으로 페미니즘을 알게되고 변화되어서

 페미니즘 이라는 말 자체가 없어지는 세상이 오길 바라며

 다시 한 번 모두가 이 책을 읽고 조금이나마 세상이 달라지길

바래보며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