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세탁소 - 나쁜 기억을 지워드립니다
하이디 지음, 박주선 옮김 / 북폴리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의 고민이 있을 찾아가 자신을 돌아볼 있게 만들어주는 곳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사람들은 그래서 종교를 가지고 상담을 하고 친구를 만나고 하는 아닐까?


이번에 아주 얇지만 마음을 단단하게 잡아주고 묵직하게 울림을 주는 소설책 권을 읽었다.


나쁜 기억을 지워드립니다. 시간 세탁소




제목만으로는 판타지 소설인가 했지만

책을 읽고 나니 마음에 담아둘 글귀가 많은 힐링 소설이었다.


어느 작은 여학생이 가져온 손수건을 소중하게 여겨주고

여학생의 고민을 차분히 들어주는 세탁소 가오 사장님


손수건을 인연으로 약간은 덜렁대고 

오지랖이 넓어서 사고도 치지만 궁금한 많은

자칭 아르바이트생 샤오루


샤오루 처럼 세탁을 맡기러 왔다가 

세탁소에 자주 와서 책을 읽고 도움을 주는 

작가인 아모


그리고 여러 손님들이 가져오는 제품을

세탁하고 그들의 고민과 아픔을 

담담하게 들어주고 작은 이야기를 통해

손님 스스로가 돌파구를 찾아갈 있게 돕는 가오 사장님의

이야기를 통해 여러 가지 삶의 모습이 나온다.


또한 사장님의 과거의 이야기들이 중간중간 

들어가서 신비로운 철학자 같은 사장님에 대한

궁금증도 해소해 나간다.







여러 손님들의 아픔을 보듬어주고 

문제를 해결해 주는 사장님이지만

사장님도 아픈 과거와 과거가 현재까지 이어져서

고민하는 문제가 있는데 

문제를 풀어나가는 모습을 통해서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는 소설이었다.


소설을 읽으면서 세탁소의 손님에게

나의 마음이 이입되기도 사장님에게 이입되기도 하면서

나도 같이 힐링 되고 차분히 나를 돌아볼 있게 만들어주는 책이었다.


아래는 내가 읽으면서 밑줄 그어둔 소설속

문장들이다.






사실 인생의 모든 일에는 끝이 있기 마련이에요. 사람도 헤어짐을 위해 만나는 것처럼요.



인생은 이렇다. 나은 상황을 가지려면 원래의 모습에서 벗어나야 한다.



세상의 모든 물질, 생명, 그리고 사람은 각자의 사명을 띠고 세상에 왔을지도 몰라요. 

그리고 일단 그들의 임무가 끝나면 함께 했던 사람과 머물던 장소를 떠나는 거죠. 

어떻게 보면 잃는 것이 아니라 그저 임무를 완수했을 뿐인 겁니다.




불안하다는 사실은 손님이 그만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아닐까요?




통제할 없는 문제에 대해서 우리가 있는  

감정을 조절하는 것뿐이야.




마음으로 느낄 많은 것들이 다르게 보일 있지만,

그건 단지 우리가 보는 눈이 다르기 때문이야.

자체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란다.



하지만 지금 그는 어머니의 기억에서 사라졌다. 

그렇지만 사랑이 없다고 의심할 수도 없었다.




어쩌면 기다림의 의미는 끝이 아니라 과정에 있을지도 모른다. 

기다리는 자체가 닦이고 정화되는 과정일 것이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신지 이제 1년이 되어간다.

아직도 나는 제대로 인사하지 못한

해드리지 못한 것에 대해서 마음 아파하는 나를 보았다.

책을 읽으면서 그것에 대해서 생각하기보다

남아있는 이들과 살아가면서 후회하지 않기 위해

고민하기로 마음먹었다.


9가지 세탁물에 관한 이야기 안에서

누구든지 자신 안에 있는 무언가를 

돌아볼 있는 이야기가 들어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고민하는 친구 지인에게 선물해 주고 싶다.

사실 인생의 모든 일에는 끝이 있기 마련이에요. 사람도 헤어짐을 위해 만나는 것처럼요

인생은 늘 이렇다. 더 나은 상황을 가지려면 원래의 모습에서 벗어나야 한다

세상의 모든 물질, 생명, 그리고 사람은 각자의 사명을 띠고 이 세상에 왔을지도 몰라요.

그리고 일단 그들의 임무가 끝나면 함께 했던 사람과 머물던 장소를 떠나는 거죠. 어떻게 보면 잃는 것이 아니라 그저 임무를 완수했을 뿐인 겁니다.


불안하다는 게 사실은 손님이 그만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거 아닐까요?

통제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감정을 조절하는 것뿐이야.


마음으로 느낄 때 많은 것들이 다르게 보일 수 있지만, 그건 단지 우리가 보는 눈이 다르기 때문이야.그 자체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란다.

어쩌면 기다림의 의미는 끝이 아니라 과정에 있을지도 모른다. 기다리는 것 자체가 닦이고 정화되는 과정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