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보는 비밀 미술관 - 모든 그림에는 시크릿 코드가 있다
데브라 N. 맨커프 지음, 안희정 옮김 / 윌북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로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마음껏 없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1년에 한두 번이지만 명화들을 있는 내한 전시마저 줄어들고 제한되어 이런 작품들을 보고 즐기고 싶은 갈증 나는 마음을 풀어주는 책을 만났다.


재미있는 타공이 들어간 커버를 벗기면 나오는 든든한 양장 제본의 도서는 두툼하고 고급스러운 종이로 명화들이 한가득 들어있는 #처음보는비밀미술관 이란 책이다.




보통 책과 달리 A4 크기의 판본이 책은 종이도 다른 소설책이나 일반 인문 책과 다르게 고급스럽고 덕분에 많은 명화들과 사진들이 들어가 있는데 자체가 크기에 그림을 세세하게 있는 것은 물론 색감도 좋다. 물론 실물 미술작품을 보는 것과는 다르겠지만 책에서 그것들을 많이 신경 것을 있었다.




책은 8개의 챕터로 이전에 많은 미술 관련 책들과 달리 역사나 작가별, 화풍의 분류가 아닌 재미있는 주제들로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다. 챕터당 적게는 4 많게는 6개의 그림을 통해서 주제별로 미술작품에 숨어있던 이야기들을 전해준다. 유명한 일화도 있고 우리가 보통 알고 있던 이야기와 다른 이야기들도 가득해서 이미 알고 있던 명화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사실을 읽게 때마다 재미를 느낄 있어서 읽는 내내 지루하지 않았다.


1. 물감 속을 꿰뚫어 보다.

미술에 대해서 감상할 그냥 보이는 아름다움과 주제뿐만 아니라 요즘은 과학까지 동원해서 감상을 있음을 있다. 엑스선 등을 이용해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겹겹이 발라진 물감 아래 작가가 처음에 했던 스케치와 작품을 완성하면서 변화한 그림들을 들여다보면서 역사적 사실과 작가 주변 사람들의 일기, 편지 등을 통해서 당시의 이야기를 추측하고 탐구하면서 작품의 의미와 작가의 의도를 찾아내는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다빈치의 유명한 그림 담비를 안고 있는 여인의 그림의 스케치에는 담비가 없었다. 담비는 그려진 걸까? 책을 읽다 보면 탐정소설을 읽는 근거를 찾고 추리를 하고 결과인 그림으로 가는 길을 찾는 탐구를 보는 듯한 재미가 있다.


2. 표면 아래

그림뿐만 아니라 그림 속의 그림과 그림이 있는 위에 덧대어 그려진 그림 정말 눈앞에 표면적으로 보이는 이상의 그림을 감상하는 기회를 주는 챕터이다. 스캐닝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표면을 훼손하지 않고 그림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갖게 하는 것을 통해 우리가 표면적으로 보이는 이상의 작품을 보게 준다. 아무것도 없던 해안 그림 속에 고래가 있다던가 여인의 그림 속에 남자가 있다던가 작가만 아는 그림의 비밀을 밝혀낸다.


3. 착시의 미술

장에서는 원근감과 숙련된 기술로 평면에서 입체를 만들어낸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유명한 살바도르 달리뿐만 아니라 평범한 방을 아름답게 꾸며낸 안드레냐 만타냐의 작품은 하늘에서 아기 천사들이 방을 지켜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만들 정도로 정교한 작품이었다. 요즘이야 트릭아트 카페나 전시로 이런 것들이 신기하지만 일상적일 있는데 이것들을 작품으로 그려낸 작가들의 이야기는 충분히 흥미롭고 놀랍다.


4. 정체를 숨기다.

정체성이란 무엇일까? 작가들은 작품에 자신의 정체성을 넣는다. 숨기거나 교묘하게 넣기도 하고 의도를 가지고 넣기도 하며 후원자나 스승에게 존경심을 품은 것처럼 그리면서 다른 의도를 숨기기도 한다. 파트를 읽으면서 작가들의 천재성과 집요함 유머도 함께 느꼈다. 책에서 처음 만난 여성 작가 소포니스바 앙귀솔라의 작품은 그녀의 자신감과 능력을 있어서 인상적이었다. 미켈란젤로 카라바조의 작품에서 자신의 처지를 용서받기 위해 작품에 자신을 드러내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내용을 모르고 그냥 작품만 봤다면 작가의 절절함이 느껴지지 않았을까? 작가들의 생각을 명확히 없지만 그들을 찾아내는 것은 흥미롭다.


5. 검열

예술은 항상 검열을 받아왔다. 지금도 K-POP으로 세계가 열광하는 가운데 그들의 퍼포먼스와 음악 복장에 검열을 받는다. 과거의 문제없던 작품도 시대가 변하고 정권이 바뀌면서 검열과 제재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역사 속에서 금지되고 파괴되고 변경되어왔던 것들에 대한 장이다. 디에고 리베라 라는 작가의 작품들이 인상적이도 재미있어서 인터넷으로 찾아보게 되었다. 그리고 기록을 편집하다는 소챕터에서 나온 흑백사진들의 손실은 안타까웠다. 사진이 귀하던 시절 사용하지 않게 하기 위해 필름에 구멍을 뚫어버린 것에 대해서 작가만큼 나도 안타까움이 느껴졌다.



6. 비밀스러운 상징

다빈치 코드라는 책을 정말 재미있게 봤고, 셜록 홈스의 추리소설로 어린 시절을 채워나간 나에게 정말 재미있게 읽은 챕터이다. 여기에 나오는 상징이나 은유를 모르고 그냥 보았으면 유명한 명화이고 세밀하고 그린 정물화는 풍부한 의미를 가지게 해준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이런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현대미술에서도 은유와 상징의 사용에 예술작품을 어떻게 봐야 할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는 챕터였다.



7. 드레스코드

항상 명화를 보면서 귀부인의 화려한 보석과 섬세한 주름을 세밀하게 그린 것에 감탄했던 나에게 작가들이 그리는 의상이 얼마나 의미 있는 건지 알게 해주는 챕터였다. 의상을 통해 시대를 유행을 읽을 있다는 것도 말이다. 안에서도 은유와 상징이 차있음에 감탄하고 로맨인 브룩스라는 작가의 작품에 매료될 있었다. 댄디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그의 작품은 처음 보는 작가지만 한참을 보게 정도로 멋졌다.



8. 완성되지 못하고, 훼손되고, 파괴된

어릴 이집트 전시회에 가서 네페르티티 흉상을 적이 있다. 그것이 진품이었는지 가품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강렬한 화장과 아름다움에 매료되었어서 당시 황금 스카라베와 라피스라줄리 라는 보석 네페르티티라는 이름을 아직까지 기억에 남는다. 이번 챕터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와 원인으로 완성되지 못하고 파괴되고 훼손된 작품들을 통해 당시의 역사와 의미 등을 있는 챕터였다. 뱅크시의 작품처럼 알고 있던 전혀 처음 보는 모든 작품들의 이야기는 흥미롭기도 안타깝기도 했다.


책을 읽는 동안 피카소 전시회에 다녀왔다. 끝에 전시 감상 시간을 물으니 안내자는 40분에서 1시간이면 본다고 했다. 빠르신 분들은 30 안에도 나온다며 너무 오래 기다리지 않으셔도 거란 이야기를 해주었다. 나는 거의 1시간 이상 2시간 가까이 걸렸다. 오디오 도슨트를 듣기도 했지만 책을 읽으면서 그림 안에는 뭐가 있는 아닐까 피카소가 부엉이는 생각한 걸까 아까 부엉이가 여기에도 있네 이런 식으로 생각을 하면서 보다 보니 시간 가는 모르고 보고 오게 것이다. 미술작품은 처음에 인상과 색감 등으로 평가하고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된다면 재미를 느낄 수도 있다는 것을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느낄 있었다. 시대나 화풍 미술사조 보다 스토리 중심으로 작품을 소개받아서 새롭기도 했다. 많은 작품을 것은 아니지만 안에 스토리가 가득 느낌을 받을 있는 책이었고, 알아보고 싶은 작가들을 많이 만날 있었다.


미술사를 달달 외우거나 사조를 알고 싶기보다 미술에 대해 흥미를 붙이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미술에는 이렇게 재미있는 이야기가 숨어있으며 과학이 발달하면서 더욱더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계속해서 추가되고 있다는 즐거움을 보여주는 책이기에 미술에 흥미 없고 미술이 고리타분하고 재미없다는 이들에게 더욱 추천하고 싶다. 어서 빨리 작품들을 실제로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재미삼아 있는 나의 명화 찾기 

https://answer.moaform.com/answers/Mm1pD5


시간도 오래 안걸리고 재미있게 자신의 취향의 명화를 찾아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