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을 위한 내 일 - 일 잘하는 여성들은 어떻게 내 직업을 발견했을까?
이다혜 지음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 잘하는 사람들은 다르다. 이런 사람들과 같이 일하게 되면 나 자신도 일을 잘 하게 되거나 일하는 게 재미있게 느껴지기까지 한다. 같이 일을 하지 않더라도 옆에서 일하는 것을 지켜보기만 해도 배울 것이 있고, 감동을 받기도 한다. 여태 여러 일을 하면서 이런 사람들을 만난 일은 많지는 않았지만 함께 하면 정말 그다음의 내 커리어는 달라졌다. 

이런 경험은 정말 자주 있지 않아서 더 소중했는데

이번에 읽은 이다혜 기자님이 7명의 일 잘하는 여자들의 인터뷰를 모은 이번 책은 책을 읽으면서 일 잘하는 사람을 옆에서 보고 스스로를 돌아보고 일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게 해주었다.


얇은 잡지 한 권을 읽는 기분으로 읽기 시작했고, 기자님의 적절한 질문으로 인터뷰 글은 재미도 있었지만 내가 이분들을 만났더라도 궁금했을 것들을 물어봐 주어서 지루한 부분 하나 없이 몰입해서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다 읽고 나서는 조금 더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쉽기까지 했다.

전혀 다른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전문직 여성들의 이야기였지만 역시나 일 잘하는 사람들의 특징들을 볼 수 있었고 다 다른 분야에서 무엇 때문에 그들이 특별할 수 있는지 이해가 되는 인터뷰여서 나를 돌아보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윤가은 감독님의 이야기에서는 영화감독이라는 직업을 이해할 수 있었던 것과 남들이 안된다고 한 것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꿈꾸던 것을 해낸 감독님의 여정이 눈부셨다. 학창 시절 하고 싶었던 것들을 주변 어른들이 말려서 하지 못했던 나에게 읽다가 눈물이 나서 잠시 읽는 걸 멈추게 했던 인터뷰는 차분하지만 강단 있는 감독님이란 느낌이 들었다. 제목만 들어보고 보지 못했던 이 감독님의 작품들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적성이 안 맞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고민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인터뷰였다.


양효진 선수의 인터뷰에서는 힘이 느껴졌다. 잘하고 싶다는 열망과 잘하기 위해서 노력한 모습 정말 오랫동안 한 길만 판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 경쟁이 심한 곳에서 살아남은 사람의 힘과 상상할 수 없는 노력을 담담하게 이야기해서 인상적이었다. 운동이나 예술 분야는 정말 재능이 있는 그리고 그 재능 이상의 노력이 있어야 성골할까 말까 한 분야라고 생각하는 나에게 그 노력의 정도를 이해시켜주고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게 해주는 인터뷰였다.


전주연 바리스타의 이야기는 처음에 보면서 이름은 기억이 안 났지만 여성이자 지방(부산)의 한 바리스타가 월드 챔피언을 했다는 기사는 본 적 있다. 기자님이 말 한대로 이분은 정말 바리스타가 아니라 다른 어떤 일을 했었어도 뭔가 해냈을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전주연 바리스타 말대로 주변의 여건도 있어야겠고 도움도 있어야겠지만 한 가지를 끈기 있게 하는 건 물론 그 산업 저변을 발전시키고자 마음먹고 노력한다는 것 자체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세랑 작가님의 인터뷰는 이 작가님의 글을 읽고 싶다는 생각뿐만 아니라 유연한 그녀의 글쓰기와 넓은 시야를 보는 대범함에 감탄하게 되었다. 자신의 단점이라고 하는 부분이 장점이 될 수 있는 분야로 진출하려는 생각은 열리지 않은 사람은 하지 못할 것이다. 그렇게 다시 본래의 장소로 올 실력을 갖추는 것도 그리고 인풋이 있어야 아웃풋이 있다는 이야기에 요즘 고민하는 것들에 대한 작은 해답을 얻게 되어 개인적으로도 좋은 인터뷰였다.


엄윤미 기업인의 인터뷰에서는 부러운 마음도 많이 생겼다. 그분이 말한 운이 있겠지만 좋은 직장에서 배울 수 있는 일을 하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었던 그 길이 부러웠고 그분이 성장해 나갔던 인터뷰를 읽으면서 그 노력에도 감탄했다. 대기업을 나올 수 있었던 마음가짐 일에 대한 비전이 부럽고 인상적이었다.


이상희 교수님의 인터뷰는 아무도 가지 않는 길을 가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인터뷰였다고 본다. 그 험난함과 희생 알 수 없음을 담담히 이야기하고 고인류학자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멸망하는 것이 또 하나의 길이라고 담담히 이야기하는 모습이 신선했다. 새로운 시각을 열어준듯한 기분이 들었다.


이수정 교수님의 인터뷰에서 인상적인 것이 이타적인 직업관이었다. 나 자신이 아닌 타인을 향한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이 이렇게 잘 일하고 있다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또한 자신의 커리어와는 달리 자신이 한가해야 세상이 좋아진다는 것을 담담히 말하는 모습에서 정말 일을 좋아하고 사람들을 위한 삶을 살고 싶어 하는 것이 보였다. 돈으로 직업을 택하고 선택하게 되는 세상에서 이단적으로 보이지만 듬직해 보여서 인상적이었다.




우선 이 책 서문에 인터뷰에 시간을 정하고 이 인터뷰를 하는 이들에게 적당한 비용을 지급했다는 이다혜 기자님의 이야기에서부터 이 인터뷰집이 인상적이었다. 기사를 써주는 것에 돈을 내야 하는 세상이라는 것을 알기에 더 진실됨을 느낄 수 있었고, 기자님이 준비를 많이 했다는 생각을 하고 보게 되었는데 역시나 인터뷰들의 내용들이 알찼다.

게다가 인터뷰 중간중간 있는 사진들도 마음에 들었다. 그녀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기분이 드는 것과 그녀들이 살아온 인생이 느껴지는 기분도 들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터뷰 중간중간 있는 사진들도 마음에 들었다. 그녀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기분이 드는 것과 그녀들이 살아온 인생이 느껴지는 기분도 들었기 때문이다.



지금 취업을 준비하고 이직을 하거나 코로나 등으로 쉬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용기와 희망 새로운 비전을 생각할 수 있게 해주는 책이 아닐까 싶다. 또한 자신이 일하는 방향과 방식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 있는 주제나 생각을 주는 책이기도 하다고 생각된다. 서문에서 밝힌 대로 STEM 직업군 쪽의 일을 하는 이들의 인터뷰를 볼 수 있다면 꼭 읽어보고 싶다. 일 잘하는 사람은 뭔가가 다르다. 그리고 그들이 하는 방식을 보면 뭔가 배울 수 있다. 일이 막히는 사람들도 이 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어느 분야에서 막히고 있는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다. 특히 여성 구직자에게 너무 권하고 싶다!

인간이 ‘우리가 없어지면 이세상이 끝나는거야!‘라고 생각하는 것만큼 자만은 없다고 봐요. - P197

안 좋은 길로 들어섰다가도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이 많아야 선진국이거든요 - P2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