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인 낙관주의자 - 심플하고 유능하게 사는 법에 대하여
옌스 바이드너 지음, 이지윤 옮김 / 다산북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를 장미빛으로 보고 살아간다는 것은 얼마나 행복 할 것인가? 성공한 사람들은 낙관적인 태도로 살아가는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큰 기업이나 스타트업을 성공으로 이끈 인물들의 인터뷰를 보면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성공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그런데 그것이 정말로 머리속이 꽃밭이라서 성공과 만족으로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일까?

 


낙관주의에 대한 두리뭉실하고 조금은 의심스럽게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 명쾌하게 이야기 해주는 책이 있다. 바로 '지적인 낙관주의자'라는 책이다. 서두에 자신이 낙관적인지 비관적인지 부터 테스트하게 배치한 이 책은 나에게 '이보다 더 비관적일 수는 없다'라는 테스트 결과를 받게한 나에게 책을 다 읽고 나서 낙관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조금은 학습해야 겠다는 생각을 만드는 책이었다.

 

이 책은 낙관주의에 대한 사람들이 어떤 편견이나 생각을 가지고 있는 지 보여주고 그것이 온전히 낙관주의자로 사는 사람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풀어준다. 그리고 낙관주의자가 어떤 종류의 사람들이 있으면 그런 사람에 대한 예시와 설명으로 타입별 낙관주의자의 장단점을 통해 여러 사람들을 만나서 어떻게 반응하면 좋을지 부터 알려준다. 이것을 통해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낙관적인 태도의 차별성과 특징을 알게한뒤 이상적인 낙관론에 대해서 알려준다.

 

또한 낙관론이 그저 머릿속 장미밭이 아닌 하나의 스킬로서 더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행동방향 지침과 정신과 마음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여기서 지적인 낙관론이 좋은게 좋은것으로 가는것이 아니라 충분한 분석과 위험분석등을 통해서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더 올바른 방향으로 일을 추진하는 힘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런 힘을 얻기위해 어떻게 학습하고 생각해 나아갸 할지를 제시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자기계발 분야이지만 아이를 키우는 부모와 사회 초년생 혹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넓혀나가는 대학생 사회초년생들에게 유익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낙관주의를 인격이나 성격처럼 변화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아 학습가능한 좋은 습관처럼 표현해주고 있었다. 이를 위해서 낙관주의를 바라보는 시각과 습득하게 되는 과정과 환경등을 자세히 설명하면서 독자 스스로 발전할 수 있다고 힘을 복돋아 준다.

 

저자는 친절하게 책의 머리말에 자신의 낙관성을 테스트 시키고 마지막에 '낙관주의 계발을 위한 25가지 팁' 을 통해 책 전체의 내용을 요약해 주면서 낙관주의가 성격의 일종이 아닌 학습되고 발전시켜야 할 하나의 기술 같은 행동과 정신상태로 독자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표현해주었던 게 인상적이었다.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일을 할 때 제대로 하고 싶은 모든 사람들 아이를 자존감 높게 사회성도 있게 키우고 싶은 사람들은 꼭 읽어보고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정검하고 자신의 문제와 발전방향성을 잡기에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낙관주의자는 최선ㅇ르 다해성공을 이뤄낸 직후에도 새로운 출발을 위해 시동을 걸 줄 아는 유형의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