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1 : 태조 - 혁명의 대업을 이루다 조선왕조실록 1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은 누구나 한 번 쯤은 들어봤고 옳은 말이라고 생각 할 것이다. 그러나 역사를 잊지 않기위해 역사를 공부하거나 우리나라의 역사책을 읽는 사람들을 본 기억은 거의 없다. 학교에서 시험과 입시를 위해 공부할 때만 잠시 외웠던 역사. 그리고 그 역사를 통해서 사색이나 미래를 생각하기 보다는 한 문제라도 더 맞추기 위한 공부가 아니었던 적이 있는지 생각이 든다. 그리고 그동안 우리나라의 역사서가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게 나온 책도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중국의 역사라던가 유럽의 로마같은 곳의 역사는 읽을 것들이 많거나 소설처럼 가볍게 읽을 만한 것들도 많이 있었던 기억이 난다. 우리가 살아온 한국이라는 나라가 만들어지기 까지 500여년간 이 땅에서 살아왔던 우리 조상들의 역사와 삶인데 왜 궁금해 하지 않고 생각하지 않았는지 책을 펼쳐들어 서문을 읽으면서 그동안 무엇을 읽고 생각하고 있었던건가 하는 생각마져 들었다.

 

우리나라 사람들 보다 세계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역사서 500년이란 세월의 방대함 뿐만 아니라 그 쓰여짐의 진실성과 객관성으로 인정받은 역사서.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염숙경영정순헌철고순종...이란 조선의 왕들 앞글자만 외우고 그 왕들이 했던 일들과 당시의 삶에 대해서 정말 단 하나도 모르고 있는 나에게 이덕일 작가의 '조선왕조실록'을 접하게 되었다.

 


총 10권으로 예상되는 책으로 이미 출간된 것은 1태조와 2정종 태종의 실록편이다.

 

 

이 책을 읽기전 조선왕조실록에 대해서 찾아보았다. 인터넷의 나라 답게  조선왕조실록 전문을 인터넷에서 볼수 있는 사이트가 있었다.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원문과 함께 한글 해석이 있지만 읽었을때 쉽지 않았다. 이 글을 새로운 해석과 상상력으로 이덕일 저자가 조선의 역사를 다시 펼쳐낸 책이 바로 조선왕조실록 이다.

 

 

제1권 태조 편은 한나라의 시작을 이야기 하면서 이전의 나라의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조선이 있기전 우리의 땅에 살던 사람들이 나라라고 부르던 고려의 역사와 당시 세계의 원나라의 정세를 이야기 한다. 당연한 이야기이다. 세상에 살면서 나 혼자 사는 사람이 어디 있던가 당시에는 더욱더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의 정세는 한 나라의 역사에 큰영향을 미쳤다. 또한 태조 이성계는 국경을 지키는 장수였다.

이 책은 총 3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 '흔들리는 왕토에서' 는 이성계의 상소문을 설명하면서 당시 정세와 백성들의 상황을 이야기한다.  또한 고려의 사회와 원나라와의 관계와 급격히 변화는 국경의 상태 그리고 이성계라는 사람을 받쳐줄 정도전이라는 사람과의 만남을 그려준다. 특히나 당시 정세의 이야기가 재미있었고 고려라는 나라의 위치를 알수 있었다.

 

 

2부 '머나먼 개국의 길' 에서는 이성계가 자신의 마음을 확정하고 고려라는 나라를 멸망시키는 과정을 보여준다. 대범하면서도 천천히 그리고 신속히...결과를 알고 천천히 읽어나가는 나로서는 흥미진진하지만 당시에는 얼마나 살얼음 같고 긴장감이 팽배해 있었을지 긴박한 내용들이 가득하다. 교과서 속에서 단편적인 일화만 알고있던 정몽주와 최영등의 이야기가 역사속에서 자리를 잡듯 맞춰지고 고려의 마지막을 알 수 있었다.

 

 

3부 ' 개국군주라는 자리' 왕으로 추대되었다. 하지만 갈길은 멀었다. 정몽주등 고려의 충신들을 죽여서라도 제거했지만 그것만이 다가 아니었다. 원나라 다음으로 중원을 차지한 명나라와의 관계는 쉽지 않았고 세자책봉 또한 쉽지않았다. 자신을 낮출수 있는 리더쉽이있었지만 그도 완벽하진 않았다.

 

 

조선이란 나라는 하루 아침에 일어난 것이 아니었다. 고려의 부패와 부흥을 이끌지 못한 고려왕족들과 원나라와 명나라의 교체시기 그리고 이성계와 정도전의 만남 그 만남에 정도전을 스승으로 모실 수 있던 이성계의 마음가짐과 결단력 권력에 관한 집착과 이성계의 대업을 위해 수많은 이들이 희생되고 희생했던 것들이 어울려 조선이란 나라의 대업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아쉬움도 없다고 할 수 없는 창업은 아니었다. 창업자는 외롭고 쉽지 않다는 것을 이 책에서는 담담하게 그려냈다. 역사를 따라가며 살을 붙여가며 당시정세를 이야기 해준다.  역사를 통해서 우리는 많은것을 배울 수 있다. 이성계의 성공과 실패에서 교훈을 얻는다. 이 책을 읽은 이들은 우선 이성계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될 것이고 한 나라의 왕이지만 민생을 직접경험하며 필요를 구하고 그것을 해결하려는것을 보고 배우게 될 것이다. 결단력도 과감성도 하지만 그의 잘못된 선택으로 인한 후대 까지 미치는 악영향을 보고 어떤 선택이든 깊게 하고 내릴것을 생각 할 것이다.

 

 

 

삽화와 지도가 많아서 보는데 지겹지 않았다.

 


역사책은 어렵기 쉽고 재미있기 어렵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을 이 책은 유연하고 차분히 잘 그려나갔다. 조선왕조실록의 객관성을 유지하면서 당시정세와 상황도 같이 담고 그들의 사상과 함께 이해를 돕는 삽화나 현재남아있는 당시 유적들의 사진들로 우리가 허구의 이야기가 아닌 역사를 읽고 있는 것을 상기시켜준다. 이 책을 읽다보면 옛 선조들의 지혜와 사상 그리고 선구함에 조선이란 나라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될 것 이다. 나도 조선이 중국에 사대하고 백성을 노예삼고 외부에 쉽게 함락된 나라가 아닌 백성을 위해 새롭게 세운 나라이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세워진 나라임을 생각하고 그 선조들의 지혜와 의기에 감탄했으니 말이다. 앞으로 우리 나라의 역사를 통해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길을 자신의 삶에서의 길을 생각 하는데 조금이라도 지혜를 얻을까 하면서 계속 읽게 될 것 같다.

 연표와 색인도 잘 되어있다.

공민왕은 하늘도 움직일 것 같은 백성들의 원한을 풀어주지 못하면 나라가 망하고 말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성계가 창왕을 옹립하는 데 동의했지만 이는 일시적인 양보일 뿐이었따. 이성계에게는 정도전이 만든 대업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