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친절한 문학 교과서 작품 읽기 : 고대 가요.향가.고려 가요 편 이토록 친절한 문학 교과서 작품 읽기
하태준 지음 / 다산에듀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어를 좋아했지만 내가 정말 항상 틀리거나 싫어하던 부분이 있었다. 바로 고전... 무슨 말인지도 잘 모르겠고... 외우게 시키고 이상한 말 들어가있고 뭔가 납득하기 어려웠던 무슨뜻인지 모르겠던 그저 외워서 풀었던 그래도 꼭 하나 둘 씩 틀리고야 말았던 부분 고전....
뭔지 모르게 난 항상 어려워서 학원도 다녔던 과목이었고 학창시절 이해하지 못하고 모르는걸 외우느라 더욱 더 싫은 느낌을 가지고 있던 고전을 정말 페이지 터너 처럼 쓱쓱 읽으면서 넘어가게 만든 책이 나왔다.

 


그런데 참 이상하다. 어렸을 때 외운건 왜 쓸데없이 기억이 잘 나는건지...
나한테 가끔 입에서 시도 때도 없이 훅 하고 나오는 이상 말 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얄리얄리얄랑성얄라리얄라!
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이것이다.  한동안 이게 뭐였는지 잊고 있다가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생각나서 또 혼자 중얼거리고 있는 주문같은 단어들은 바로 청산별곡 과 서경별곡에 나왔던 후렴구였다.

아마 선생님이 시험에 나온다고 외우라고 해서 외우고 앞에는 까먹고 웃긴다고 생각했던 부분만 머릿속에 남은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고등학교때 기억들이 많이 났는데. 당시 운이 나쁜건지 고전은 재미있게 배운기억이 없었다. 무슨뜻인지도 잘 모르겠는 고어의 연속이라는 느낌뿐이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약간 배신감 마져 들었다. 왜냐면 읽는 내내 재미있는 동화나 옛 이야기를 보는듯하는 기분이었기 때문이었다.

 


이 책의 큰 장점중 하나인 많은 삽화들은 계속 보다보니 조금 너무 사실적이라서 웃기기까지한 한국인의 얼굴을 정말 잘 그려낸 삽화들이었다. 이 세밀하고 다양하며 섬세한 삽화와 함께 구구절절한 사연을 읽다보면 내 머릿속에서 외계어 같던 고전문학이 친근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로 변해버렸다. 여기에 내용을 다 알고 나서  원전 한문 풀이와 핵심까지 읽고나면 뿌듯한 기분마져 들었다. 해냈다는 그런 마음말이다.

 

목차를 보면서 구지가, 서경별곡, 청산별곡, 서동요, 공무도하가, 찬기파랑가 등등 제목은 다 아는데 무슨 내용이었는지 전혀 기억이 안나서 답답하고 울컥했던 시작과 달리 책을 다 읽고 나서는 목차 제목만 누가 던져줘도 이런 내용이다. 라고 말할 수 있어서 누가 이 고전 내용이 뭐냐고 내심 물어봐 줬으면 싶은 기분이 들었다.

 


이 책은 우선 고전이 어떤 내용인지 내용을 파악하게 해준다음 원문을 보여주고 핵심을 정리해주고 나중에 원문의 한자나 고어를 보여주기 때문에 전체 이야기를 파악을 먼저 하고 그 다음 그 이야기가 어떻게 문자로 남아있는지 확인하는 기분으로 볼 수 있었다. 마치 "짜잔 이 암호같은 옛글을 알아서 풀어봐라 이건 무슨뜻일까?" 가 아닌 "이런 이야기가 있는데 이 이야기는 이런 옛언어로 전해졌대." 라고 말해주는 심술쟁이 친구대신 친절한 친구를 새로 사귄 기분이 드는 책이었다.

 

재미있게 읽은 후 동생에게도 그림이 지폐의 위인들을 닮았다고 보여주니 재미있겠다고 하고 읽어보더니 오랜만에 고등학교때 배웠던 얘기가 새록 새록 생각났는데 훨씬 재미있고 쉽게 읽혀서 좋았다고 했다.   만일 내가 고등학교때 아니 중학생이나 초등학생때 이 책을 우연히 접했다면 어땟을까? 그냥 부담없이 읽고 나중에 교과서에서 이 고전들을 만났다면 부담스럽고 어려운 외계어 같은 고전이 아니라 이미 아는 이야기를 교과서에서 만난 반가운 마음을 가질 수 있었지 않았나 하는 생각에 조금 많이 섭섭해졌다.

주변에 고전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나 문학이 싫은 친구들이 있다면 정말 보라고 권하고 싶다. 그저 옛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그들의 생각이었다고 거기서 우리가 각자 느끼는걸 느끼기만 하면 된다고 말하면서 말이다.

 

마지막으로 다시 한 번 이야기 하자면 이 책은 정말 제목처럼 친절했고 쉽고 재미있었다. 나에게 항상 좌절감만 주던 고전이 이렇게 웃기고 슬프고 감동적인 이야기 였다니 조금은 배신감마져 느껴진다. 그래도 이렇게 지금이라도 이 이야기들의 전말을 알게되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더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