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이프를 발음하는 법
수반캄 탐마봉사 지음, 이윤실 옮김 / 문학동네 / 2025년 2월
평점 :

수반캄 캄마봉사 소설/ 문학동네
다이 시지에, 수반캄 탐마봉사...
해문클럽을 통해 만난 작가들 이름이다. 특히 수반캄 탐마봉사 작가님 이름은 더욱 낯설다. 몇 번이나 소리 내서 작가 이름을 말해봤다... 수 반 캄 탐 마 봉 사...... 수반캄.... 본인 고향 라오스 발음으로 이름을 말하면 어떻게 들릴까 궁금해하면서. ( 난 늘 이런 게 궁금해 ㅋ)
해문클럽이 아니면 만날 수 없었던 작가들이다. 두 권을 만나며 내 나름의 엉성한 결론!!
발음하기 어려운 나라 작가님 책일수록 좋은 작품일 확률이 높다. 왜냐면??
영미소설 혹은 일본 소설로 점철된 우리 해외문학에서 출판을 결심할 만큼 매력적인 소설이라는 뜻. 출판업자? 입장에서는 안전한 길을 가고 싶을 것이고 영미소설이나 일본 추리소설 외에 듣보잡 나라 출신작가 작품을 출간한다는 것은 그만큼 문학성이 높다는 얘기...
문과 기피 현상은 갈수록 심해지고
동아시아 문학을 전공해 보고 싶다거나 하다못해 체코 문학을 전공해 보겠다는 아이는 전교에 단 한 명도 없다. 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숫자 자체가 줄어들었고 게다가 주류가 아닌 비주류( 주류 vs 비주류 내가 쓰는 언어 아니고 잠시 빌려왔음) 문학이라니! ( 체코는 내 작가 카프카를 떠올리며.... 하는 말) 카테고리도 그렇다. 영미소설 아니면 일본 소설 중국 소설 그 외에는 세계 각국 소설로 분류된다. 태국 소설이라는 카테고리를 본 적 있던가?
라오스계 캐나다 시인이자 소설가...
난민촌에서 태어나 캐나다로 이주했다. 첫 소설로 캐나다 최고 영예상인 스코샤뱅크 길러상을 받았다.
표제작이기도 한 첫 소설 《나이프를 발음하는 법》을 먼저 읽었다. 그날 밤 마음이 아렸다.
사회주의 체제, 정치가 불안정한 라오스의 상황을 살짝 검색해 봤다. 동남아 여행지로만 생각했고 관심조차 없던 나라가 다 떠오르다니 소설의 힘인가!!!
"라오어 쓰지 마라. 네가 라오스인 인 걸 아무한테도 말하지 말고. 어디서 왔는지 말해서 좋을 게 없어."
주인공은 곧 소설가 자신일지도....
덧. 소설을 덮으며 여전히 보이지 않는 장벽 혹은 장애물을 우리는 뛰어넘는다. 삶은 어쩌면 보이지 않는 허들을 죽을 때까지 뛰어넘는 일일지도 모르겠다.
언어와 문화 인종 + 여자들은 여기서 '성별'이라는 장벽도 뛰어넘곤 한다.
허울좋은 다문화 시대, 전 세계인이 난민이자 이방인 아닐까?
나는 거꾸로 질문해 본다. 그렇다면 나는 무엇으로부터의 이방인인지!!
소설가 수반캄 탐마봉사는 '정체성'이라는 한 단어를 말하기 위해 이 소설 무려 219페이지를 썼다. 감사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