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달러 미래 - 기회와 추월의 시간
권세호 지음 / 청년정신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피부로 제일 와닿는 관심사가 몇 가지 있다.

기후온난화 위기와 4차 산업혁명 기술에 기반한 경제전쟁이다.

미래전쟁 중 하나로 기업의 산업구조 대전환이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니 격변하는 파도에 제대로 준비해야 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팬데믹과 노동의 종말, 인류의 새 시대, 초고령화 사회, AI전쟁 등등 정치적, 사회적, 기술적, 경제적 전반에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슈들을 한데 종합해서 읽다보니 새삼 생각이 많아진다. 올해 여름이 유난히 더웠는데 갈수록 여름은 더워지고 겨울은 추워질 거라는 말을 몇 년 사이 엄청나게 실감하고 있다. 세계 인구 100억을 찍을 시기가 2050년이라고 하는데 그 많은 사람들이 모두 도시로 몰리고 있다고 한다. 더욱 심해질 기후 온난화 문제뿐 아니라 가속화되는 인구의 도시 집중이 불러올 문제들이 참 무섭다.

게다가 고령화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것도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한국 같은 경우 현재는 노인인구가 총인구의 14.3%지만 2026년이 되면 2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존 많은 노동시장의 종말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맞춰 초고령화 시대까지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 활약은 분야를 나누어 살펴보고 있어서 흥미롭다. 게임, 이미지, 언어, 음성, 차량, 문학, 의료, 금융, 법률, 교육 등에서 뚜렷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사물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정도의 AI기술은 좋았는데 인간을 뛰어넘는 인공지능 기술은 아직 부담스럽다. 하지만 이미 AI 화가가 직접 그린 그림이 인간 화가가 그린 그림의 2배 이상의 가격에 거래되고 그들만의 작품 전시회도 열리고 있다고 한다. AI기술 중 사회적 편견이 담긴 데이터 수집으로 인해 인간화된 모습의 로봇들이 막말을 하여 비윤리적인 문제가 여러번 이슈되었고 서비스가 중단되기도 했다. 로봇강령을 보면 선한 로봇을 만들겠다는 말이 나오는데, 인간의 힘으로 조절이 가능할까 싶기도 하다. 현재에도 지능의 영역에서 어떤 것은 인간을 뛰어넘는 부분도 많다고 하니 조금 걱정스럽기도 하다.

결국 원하든 원치않든 우리가 마주하게 될 미래임이 확실하다. 불확실한 미래에 살아남을 수 있는 미래 전략과 투자 계획 수립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어 새로운 미래 체제가 궁금한 이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