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의 시대 - 뉴스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것
알랭 드 보통 지음, 최민우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7월
평점 :
언론매체가 아니더라도 유튜브 등의 미디어를 통해 누구나 정보를 생산해 내는 시대가 도래했다.
정보 생산자의 필두로서 언론 매체는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할 것이다.
뉴스란 무엇이고, 뉴스를 통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생산자들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자들에 비해서 강한 위치를 점한다.
사건에 대해 있는 그대로 표현, 전달한다고 하지만 관점과 편향에 따라
그들의 의도대로 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뉴스를 접할 때 중요한 지점은 생산자의 입장보다 받아들이는 자들의 태도이다.
옳고 그른 것인지, 어떤 것을 취해야하는지 선택을 하는 것이 삶의 방향성을 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뉴스의 시대'는 일상 철학자로 유명한 '알랭드보통'의 저작으로 2014년 문학동네에서 발행 되었다. 이 책은 뉴스를 정치뉴스, 해외뉴스, 경제뉴스, 셀러브리티 뉴스, 재난뉴스, 소비자 정보 뉴스 등 섹션별로로 나누었다. 각각의 정보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상은 아직 살만하다.'라는 생각보다, '인류애 떨어진다', '인간이 미안해.' 등의 이야기가 더 많이 나오는 요즘 세태는 과연 어떻게 이루어진 것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뉴스를 통해 정보를 얻을 것이다. 아름다운 소식보다 어딘가에서 발발한 전쟁의 소식,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뉴스가 지면을 뒤덮는다.
'의인 ㅇㅇ님의 희생'이나 인류애를 끌어 올릴만한 따뜻한 이야기의 비중은 거의 되지 않는다.
세상이 각박해진 데에는 뉴스의 역할도 있지 않을까?
자극적이고, 눈길을 끌만한 요소들이 있어야 사람들이 보아주니, 그리고 그것이 이익으로 창출되니 말이다.
"자극하라! 위험하다! 섹시하라!"
맹점이 있다.
유명인들의 사생활에 대해서는 사소한 것 하나까지도 파고 들면서
중요한 정치적 사안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해 주지 않는다.
어려운 용어들과 함께 뭉뚱그려서 보내버린다.
대중은 상대적으로 더욱 자극적인 매체에 눈길이 갈 수 밖에 없다.
중요한 것에서 대중들의 눈이 멀어지길 바라는 자들은
여전히 국풍81이나 3S처럼 자극적인 것들로 눈길을 이끈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는 책을 통해서 정보 소비자들이
행간을 읽을 줄 알아야 함을 강조한다.
어려운 단어속에 있는 사안의 의미, 정보 생산자들이
숨기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사실‘이 지닌 문제는 오늘날 신뢰할 만한 사실 보도를 찾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는 것이다. 정작 문제는 우리가 더 많은 사실을 알아야 한다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접한 그 사실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모른다는 데 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진정 의미하는 바가 뭐란 말인가? 이 사실들은 정치적 삶의 핵심적 질문들과 어떻게 연결되는 걸까?
이 뉴스들은 우리가 뭘 이해하도록 돕는 걸까?
- P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