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연습
팀 번즈 지음, 정미현 옮김 / 베이직북스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년이라는 의미가 이렇게 내게 절실하게 다가올 줄을 몰랐다 세월이 가면 나이를 먹듯이 20대에서 30대는 전혀 꺼리낌없이 그렇게 보내왔건만 딱 40의 문턱을 밟으면서 혼란스럽기 시작했다. 예부터 불혹이라 하면 남자는 사회의 인정과 더불어 자신의 지위를 굳히는 나이이고 여자는 아이들을 어느정도 키워놓고 자기 계발을 하거나 혹은 친목을 도모하는 모임의 수가 많아지는 나이였던 것 같다. 허나 그것에 부합된 현실의 나는 정 반대다. 유치원 다니는 어린 아이 둘에 끝이 보이지 않는 육아와의 전쟁, 그렇다고 신랑도 마음 놓고 다니는 직장의 세계가 아니니 어디 혼란스럽지 않을 수 있으며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막연한 공포가 시시때때로 업습하고 있다. 이 마음을 잡고자 펴든 <중년 연습>!

단번에 읽어 내리기보다 옆에 두고두고 천천히 읽을 만한 책이였던 것 같다.

 

  우선 이 책 저자는 누가 '그러했다러라'로 시작하는게 아니라 본인의 이야기를 주소재로 다루며 중년을 거점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형식을 빌린 일종의 자기 계발서와도 같다. 이 정도의 나이가 되면 실천하고자 하는 욕구도 크지만 하루가 지나면 쉽게 포기하고 마는 좌절의 나이이기도 하다.

'내가 어떻게?' 혹은 '이 나이에 무슨' 같은 염려증이랄까. 저자는 행복의 6가지 요소를 조목조목 이야기하고 본격적으로 중년 튜닝 작업을 이야기한다.

성공의 6가지 요소는 열정, 목적, 힘, 계획, 관점, 인내력 으로 요약한다. 목적이 있어야 그 목적에 도달하려는 열정이 생길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본인의 체력을 유지하고 가꿔야 한다. 그 과정에서는 실패가 언제나 도사리고 있으니 인내를 갖고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꿈을 꾸어라!' 내 유년시절에도 이렇다할 꿈이 없었고 지금의 10대들도 여전히 우리가 그랬던 것처럼 대학가기 위해 공부하는 친구들이 많다고 한다. 스피치 강사 김미경 원장의 '꿈'에 관한 강연을 TV에서 본 기억이 있다. 그 순간은 나도 모르게 가슴이 뛰고 뭔가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이 있을 것 같고 하고 싶은 일들이 내 머리속으로 마구 쏟아져 들어왔다. 나이는 그야말로 숫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그 나이가 걸림돌이라고 지레 겁먹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 즉 긍정적 사고가 인생을 보다 행복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저자는 알콜 중독자인 아버지로 인해 성격이 피폐해지고 용서라는 단어 자체를 사용하려고 생각지 않았다고 한다. 끔찍한 상황이 닥치게 되면 최악의 순간만을 돌이키며 관점의 전환을 시도하기가 쉽지 않다. 실패가 두려운 나이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실패가 두렵지 않은 나이는 없으므로 정서적 안정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우선이라 말한다. 그 위기를 쉽게 빠져 나오기 위해서는 우선 나를 용서하는 것과 남을 용서하고 종교적인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길이라 안내한다.

본격적으로 중년을 튜닝하는 과정에서는 경제적 지침이 크게 한 몫을 차지한다. 자본주의 국가에서 결코 빠트리고 인생을 여유롭게 살아갈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여러가지 지침이 나오기는 하나 사실 우리나라 가정의 현실과는 조금 동떨어진 지침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충분히 고려해 보고 유용한 정보들이 훨씬 더 많다.

 

  중년은 앞으로의 삶을 반성해서 노년을 보다 즐겁게 살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임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허나 현실은 생각했던 이론적인 것들과 상반된 경우가 더 많다. 이 책을 읽을 때는 '그래 그래야지!'하는 결의에 찼었는데 책장을 덥고나니 중년의 무게는 또 다시 내 어깨를 누른다. 하지만 예전처럼 누룬다고 그 무게에 납작하게 엎드려 있지는 않을 생각이다. 생각했던 두 가지를 실천했고 작은 거라도 꾸준히 해 볼 생각이다.

나를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나를 거울로 삼고 따라하는 내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내 자신을 사랑하고 계발해 볼 참이다. 중년은 이미 시작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