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차 적멸을 깨우네 - 다산과 추사가 사랑한 초의 선사의 우리茶 기행
박동춘 지음 / 동아시아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차'라 하면 우리가 가깝게 접하는 녹차에서 부터 중국집에서 흔하게 나오는 쟈스민차, 우롱차, 보이차 등 저렴한 것부터 부르는게 값인 고가의 것들도 많다. 예전엔 '차'를 즐겨 먹는 편이었는데 커피 전문점들이 우후죽순 생기면서 너무 쉽게 접할 수 있는 음료인지라 싸지도 않지만 커피가 어느새 내 입맛을 장악해 버렸다.

티백의 차는 흥미가 없고 잎을 우려서 정성스럽게 먹고 싶은 사치(?)의 마음도 있고, 커피와는 다르게 조용한 곳에서 음미하고픈정화된 장소가 필요하기도 하다. 이같은 이유로 차와는 점점 더 멀어지고 절에서 어쩌다 접하게 되는 차가 유일한 것이었고 또 그런 곳에서 마시는 것이 일상에서 늘 먹던 진한 커피의 맛을 잠시나마 떨칠 수 있었다.

이때 때마침 접하게 된 이 책은 구미를 자극하며 '차'의 역사와 더불어 만드는 방법과 종류 등 여러가지를 알아 낼 수 있을 것 같았다. 허나 첫장을 보고 상상하거나 제목을 보고 '이런 것이려니' 하면 여지없이 내 생각과는 정 다른 방향의 내용이 숨어 있다는 거 ! 금석학의 대가에게 한학을 사사받은 분이기도 하고 차에 관한 자료와 '초의차' 의 제다법을 전수받은 분이시라 그런지 한문으로 된 원본과 더불어 설명하는 부분까지 한자어가 워낙 많이 섞여 있어서 소설 번역서나 수필을 주로 읽던 요즘, 내게 읽어 내기가 쉬운 책은 아니었다.

 

 저자가 '초의 선사'의 발자취를 밟아가며 초의 선사와 관계했던 인물들의 내용이 상당 부분 차지한다. 동년배로 오랜 지기였던 추사 김정희, 다산과 그의 자제들과의 인연, 신위와 그의 제자들. 이들의 주변 인물에게까지 '초의차'가 전해지면서 당대의 내놓으라는 사대부들이 마시면서 차 문화를 중흥시킨 배경이 되었다.

처음에 차는 약용으로 이용되다가 점차 정신음료로 발전해 나가기도 했는데 임진왜란을 전후로 쇠퇴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전쟁으로 피혜해진 땅에서 먹고 살기도 힘들었을 텐데 아무리 시와 흥을 즐기고 차문화를 즐기는 사대부라 할지라고 이 명맥을 유지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오히려 서민들이 즐기는 음료이자 약용이었다면 변형되어 오면서 우리 입맛에 맞는 진실한 차로 거듭났을 지도 모르고 구전되어 오면서 더 깊게 뿌리를 내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잠시 해본다.

마지막 3부 '차'편에서 초의 선사가 차의 이론을 섭렵해 제다법(차를 만드는 공정), 탕법의 기준을 성립하는 배경에 대해 설명한다. 차의 세계는 조건이 필요한데 우선은 좋은 찻잎이 있어야 하고 , 물이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 물은 차의 체이며 바로 물에 의해 들어난 차의 색과 향 그리고 맛이 바로 차의 세계란 것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한문으로 된 원서와 더불어 다량의 한자로 인해 읽기가 그리 쉬운 책은 아니었다. 초의 선사의 제다법을 좀 더 자세히 풀어 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기도 했다.

차라 하면 자연과 더불어 떼어서 생각할 수 없음에 산사의 절과 스님을 연상케하고 마음의 안식처를 찾아 마시고자 하는가 보다.

잠시 접어 두었던 다기를 꺼내 차 한잔 우려 먹는 것도 좋을 듯 싶다.

적멸의 뜻을 찾는데서 부터 시작한 이 책을 마지막으로 그 뜻을 적어봄으로 서평을 마무리 한다.

* 적멸 : 번뇌의 세상을 완전히 벗어난 높은 경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