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사랑 이야기
마르탱 파주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주인공 비르질이 후레쉬가 달린 모자를 쓰고 에펠탑을 안고 등장하는 표지의 엉뚱한 포즈는 웃음을 자아내면서도 어떤 사랑이야기인지 궁금증을 유발하기 된다. 아들 녀석이랑 얼마전에는 본 애니메이션 '라따 뚜이'에 나오는 프랑스 식당의 견습생 '링귀니'와도 많이 닮아 있다. 비르질은 기억에서 사라진 클라라의 이별통보로 인해 현재의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앞으로의 자신과 과거의 행적을 되짚어보는 계기를 가진다. 나의 기억은 없으나 친구들도 알고있고 그녀도 이별을 고하는 상황!
정녕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면 나는 어떨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현명하고 기분 나쁘지 않게 예전의 나로 돌아올 것인가?

 싱글인 한 남자의 고독한 연애담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동시대인들의 모습이 아닐까 한다.
프랑스라는 문화와 그 속에 속하는 젊은 청춘의 모습을 엿보는 것은 동양의 그것과는 사뭇 다른 점들이 눈길을 끈다. 와인의 주산지답게 즐겨마시는 와인의 이름이나 음식, 그가 사랑하는 빠리거리의 모습. 허나 현실을 살아가며 겪어야 하는 젊은 청춘의 흔들리는 모습은 우리와 별반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 약간의 이질감이 든 것은, 광고회사에서 승진을 하고 연봉이 올라가는데 그것을 구지 마다하고 억지를 부리며 승진을 하지 않겠다고 회사와 갈등을 빚는 부분은 조금 억지스러운 면이 있었다.  그렇게까지 하지 않을 명확한 이유제시도 부족하고 그렇게 하는 것이 본인에게 어떤 장점으로 작용하는지도 이렇다 할 설명이 부족했다.

20~30대를 살아가고 있는 이 지구상의 모든 젊은이들은 경제적 능력을 추구하는데 비상이 걸렸다. 부를 과다하게 축적하는 대기업들은 새로운 곳에 인재를 등용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조해야 할 의무를 상실했고 그로인해 야기되는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일해야 하는 젊은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아르바이트인생에 급급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이 소설에서도 고스란히 들여다 볼 수 있다. 돈을 벌어 공부를 해야 하는 현실에 원하지 않는 직업을 구해야 하거나 그러다 자신이 원하는 길을 돌아서 가야만 하는 경우가 그랬고 좀 비약이긴 하지만 정신과 의사의 도움을 받아야하는 일이 그렇다.

결국 비르짙은 클라라와 재회를 앞두고 그녀를 만나기를 포기한다.
2주동안 그녀의 그림자를 쫓으며 자신을 되돌아 보고 자신의 주변 사람들을 살피게 된 것에 만족하고 된다. 그가 마지막에 던지는 한마디는 이 소설의 제목과 일맥상통하기도 하고 그 기억되지 않는 것들은 그대로 내버려두는 것이다. 그게 인생이고 지친일상을 피해가는 힘이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