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은 거짓말쟁이
알베르토 망구엘 지음, 조명애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제목부터 심상치 않은 '거짓말'이란 단어는 첫 장을 넘기면서부터 이것과 연관된 문장들을 소개하고 계속해서 '모든 사람의 말을 믿지 말라'라는 암시를 준다. 
 

 30년 전에 죽은 한 천재 작가 '베빌라쿠아'의 죽음을 기자겸 작가인 '테라디요스'가 조사하면서 그 사람에 대한 기억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남아 있는 증거물을 토대로 그 사람의 인생을 짜집기 해 본다.
가장 가깝게 지낸 사이이자 그날 자신의 아파트에서 떨어져 죽은 '베빌라쿠아'때문에 용의 선상에 있었던 또 다른 작가 알베르토 망구엘.
자신의 실제 이름을 적어서 살짝 놀라긴 했지만 작가들 이야기인 지라 한층 더 까깝게 느낄 수 있었다.
아르헨티나에서 마드리드로 망명해 오면서 만나게 된 여인 안드레아, 그녀는 천재 작가의 책 <<거짓말 예찬>>이 나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그 사람을 사랑했다기 보다 예술작품에 더 심취했던 여인. 아르헨티나의 감옥에 있을 당시 만나던 '돼지'라 불리는 사나이. 남들보다 열등한 외모 때문에 늘 그늘에 있었지만 사람하는 사람을 만나 행복한 생활을 하고, <거짓말 예찬>에 열쇠를 쥔 사나이 ! 그리고 베빌라쿠아의 엣 연인과 연관있는 죽음 저편의 사내.
 

 뒤로 갈수록 베빌라쿠아라는 사람이 누군지 의문이 들기 시작했으며 증언하는 사람들 모두 그 인물에 대해 다르게 이야기한다.
한 사람을 두고 각자 생각하고 싶은 대로 생각하고 기억하는 것! 요즘 세상과 너무 딱 들어 맞는 현상이 아닌가 싶다.
내가 생각하는 '나', 남이 나를 보는 '나'. 과연 그 두가지를 조합하면 주관적과 객관적 입장차이 없이 나란 인물로 묘사될 수 있을까?
'거짓말'이라는 것이 이렇듯 인생을 좌지우지 하기도 하고 남의 인생도 함께 휘둘릴 수 있다. 착한 거짓말도 있다지만 그것의 바탕은 좋든 나쁘든 간에 진실을 감춘다는 의미에서 어떻게 정당화를 시키느냐에 달린 문제가 아닐까 한다.
 그 옛날, 두 사람 이상이 모이는 집단이 생기면서 시기, 질투, 이기 등 이런 감정들이 생기기 시작했고, 사람들과 엮이고 부딪히는 과정에서 거짓말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혼자살지 않는한 함께 공존 하는 것. 그것이 '거짓말'이 아닐까? 
 

  중남미 문학을 많이 접하지도, 그렇다고 그쪽 문화를 잘 알지도 못해서 사실 '주'를 넘나들며 읽느라 맥이 끊기긴 했다. 유럽문화가 아시아 문화에 문외한이듯 나도 한쪽에 치중하는 독서를 하지 않았나 싶다. 작가의 방대한 지식이 그대로 들어 나는데, 읽는 독자의 수준이 미흡했던 것 같아 작가에게 죄송할 따름이었다.

흥미롭게 이 소설을 읽으며, 재미로 거짓말을 하고 간과하고 넘어갔던 일을 다시 생각 할 수 있어서 좋았던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