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셋 2025
김혜수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만의 글쓰기 셋셋 (김혜수 외, 한겨레출판, 2025, 초판 1)

신인(新人)의 소설은 기대보다 만족이 크다. 소설 전체에서 마음에 드는 문장을 하나만이라도 찾을 수 있어도 작품과 작가를 좋아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그 마음 덕분에 작가의 다른 작품을 찾아 읽고, 새로운 작품을 읽으며 좋아하는 문장이 쌓인다. 그렇게 그 작가에 대한 기대가 만들어진다. 이 소설집은 신인 작가에 대한 기대를 만들어가는 기초를 제공하려 한다. 그래서 이름이 셋(3) (Set)인가보다. 신인 작가를 독자와 만나게 해주는 출판사, 그 세 존재가 첫 만남을 갖는 소설집이기에 셋셋은 생소하면서도 매력적인 이름이다.

신인 작가는 알려진 것이 적다. 그러다 보니 마치 소설 속 주인공이 곧 작가의 삶을 담고 있다고 생각하게 한다. 그는 어떤 삶을 살아온 사람이고, 무엇에 관심과 애정을 기울이는 사람일까에 대한 궁금증을 소설이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소설집 속 주인공들은 나와 다른 삶을 살았다. 그들이 처해 있는 현실은 내겐 머나먼 우주와도 같은 생소한 모습투성이다. 충분히 내 곁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람들이지만 내가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사람들 같았다. 아니, 관심을 가지려 노력할 마음조차 없었다. 그래서일까. 앞으로 이들을 만난다면 나는 그들에게 조금 더 관대한 마음을 가질 수 있을 것만 같았다. 내 삶보다 더 힘겨운 고통을 겪는 이들이 있었고, 그들에게는 위로와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니까.

 

 

-아픔, 상처-

 

소설 속에서 만난 아픔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어린 시절의 상처였다. 아무래도 내가 세 아이를 키우는 부모이기에 그런 마음이 들었나 보다. 부모나 나 자신의 아픔보다 아이들의 아픔이 더욱 크게 느껴졌다. 그들은 부모에 의해 이 세상에 던져졌고, 부모가 충분히 보살펴주었다면 평생 절대로 알 수 없는 아픔이었을 테니까. 그래서 나는 그들의 아픔에 가장 공감했다.

여름방학(김혜수)’의 주인공 는 아빠를 잃었고, 친지들을 떠나야 했으며, 기댈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인 엄마는 삶의 무게에 짓눌려 있었다. 그녀는 부모로부터 안정적인 보호와 지원을 받아본 적 없는 아이였다. 그런데 그녀의 삶이 더 아프게 다가온 것은 지하 곰팡내인 군내같이 자리 잡은 결핍이었다.

 

우리는 머리를 어떻게 감아야 하는지 부모님한테서 배운 적이 없었다. 우리는 눈치껏 알아서 자라고 있었다. 그때 놓친 것들은 지금에 와서 다시 찾으려 해도 잡히지 않는다.”(27)

 

지영(이서희)’ 속 지영도 마찬가지다. 그녀는 자신의 어린 시절 기억이 트라우마였음을 모르고 자란다. 그런데 더 심각한 것은 그녀의 부모가 그것을 기억조차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56) 당연히 상처는 오롯이 그녀 몫이 되었고, 가장 믿고 기댈 수 있는 존재여야 할 부모가 사실상 없는 것과 같은 상황에 부닥친다. 어찌할 수 있단 말인가. 궁지에 몰린 삶은 결국 극단적인 공감과 위로 속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다. 그들의 선택을 우리가 함부로 판단하고 평가할 수 없는 이유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아주 작은 공감이었고, 다만 그것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는 자들이 나쁘다는 사실만 남을 뿐이다.

 

쿰쿰한 지하방에서 내 이야기를 하면, 사람들은 나랑 같은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여줬어. 정말 힘들었겠구나, 위로해주는 거야. 누군가는 날 안아주고, 누군가는 울어주고.”(64)

 

 

-냄새-

 

아픔과 상처는 강렬한 냄새로 찾아온다. 어린 시절의 결핍을 느낀 이들은 곰팡내가 섞인 군내, 치매 부모를 보살피는 이에게는 익숙한 지린내. ‘동물원을 탈출한 고양이(김현민)’ 속 해연은 현실이 곧 냄새다. 직장은 퇴식구의 음식물이 내뿜는 악취로, 집안은 엄마가 내뿜는 익숙한 지린내로 가득하다. 그래서 나는 이 소설 속 주인공의 삶이 가장 견디기 힘들었다. 냄새는 그녀가 삶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 같았다. 어떤 몸부림으로도 벗어날 수 없는 냄새 같은 존재가 그녀를 붙잡고 있었다. 그녀는 다른 소설 속 주인공과 달리 위로나 구원을 받을 수 없을 것이라 믿었다.

그런데 어떤 기억은 냄새로 인해 우연히 되살아난다. 억지로 기억하려 하지 않아도 냄새를 맡으면 기억이 갑자기 떠오는 경우가 있다. 현실에 매몰되어 잊고 살아가던 그 기억은 현실을 벗어나게 해주는 매개물이 된다. 해연에게는 맛동산의 피맛과 고소한 냄새가 그것이었다. 냄새는 곧 위로와 구원이었다.

 

지금보다 물엿과 땅콩 가루가 담뿍 버무려져 고소했지만, 오물오물 씹다보면 입천장이 까질 정도로 딱딱했던 맛동산은 엄마가 가장 좋아하는 과자였다.”(87)

 

나도 막상 지금 좋았던 기억을 떠올려보라고 하면 잘 생각나지 않는다. 희미한 장막 속에 갇혀있는 그 기억들은 나를 만들고, 내 삶을 규정하는 중요한 기초들임이 틀림없지만, 그것들을 인위적으로 끄집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언젠가 견딜 수 없을 정도로 현실이 힘들고 괴로울 때, 냄새는 그 기억을 끄집어내 주는 장치가 되어줄 수 있을 것 같았다. 해연과 그녀의 어머니는 맛동산이 그런 매개였다.

 

 

-말할 수 없는 비밀-

 

나이가 들수록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늘어나는 게 당연하다 생각했다. 취업하면 당연히 직장에서 하고 싶은 말을 학생 때처럼 떠들어 댈 수 없었다. 무조건 견디거나, 그렇지 못하면 일을 그만두는 방법밖에 없다는 것이 참 힘겨웠었다. ‘아이리시커피(이지연)’의 희수도 직장을 견딜 수 없기에 새로운 직장을 창출(?)해 낸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병원에서 근무하던 마지막 해, 희수는 모든 것이 소진된 기분으로 하루하루를 보냈다.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감당하기 힘든 수위의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한계에 다다른 것 같았다. 무뎌지는 게 단단해지는 거라고 여겼다. 하지만 아무 감정 없이 기계적으로 출근해서 업무를 수행하는 자신에게 느껴지는 건 자괴감뿐이었다.”(128)

 

그런데 희수가 만들어낸 새로운 직장마저도 우연한 사건으로 인해 견딜 수 없는 공간으로 변해버린다. 심지어 그 공간에서 희수가 느꼈던 감정은 절대로 다른 이에게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어버린다. 희수는 과연 누군가에게 속마음을 털어내지 않은 채 자신만의 비법으로 그 상황을 견뎌낼 수 있을까.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은 그녀에게 어떤 위로와 공감이 필요할까.

 

호날두의 눈물(양현모)’ 개저씨는 이제 내 일상이 되었다. 개저씨로 살아가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해야 하는지 익숙하다. ‘경유지(전은서)’ 속 쉽게 끊어질 수 있는 관계도 여럿 경험해 봤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결국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하다는 것만 남는다. 소설 속 주인공들도 결국 친구로부터, 직장 동료로부터, 가족으로부터 위안을 얻는다. 그게 우리가 살아갈 힘이 된다는 것은 누구나 쉽게 알아챌 수 있을 것이다. 이 소설집은 우리에게 그런 위안을 전해준다. 삶이 피폐하거나 헛헛한 사람들은 이 책을 통해 위로를 얻길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